[사설] 취임 100일 회견 생략한 이재명, 사법 리스크 부각 두려웠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어제 "지난 100일 동안 민주당은 민생과 민주 '투트랙'을 중심으로 변화의 씨앗을 뿌려 왔다"면서 "국민 우선, 민생제일주의 실천에 매진해 왔다고 자부한다"고 했다.
이 대표가 관례적으로 열어온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갖지 않고 최고위 발언으로 대체한 것도 '사법 리스크'가 부각될 것을 우려해서라고 한다.
민주당 계열 정당 대표가 100일 기자회견을 하지 않은 건 2015년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이후 7년 만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가 관례적으로 열어온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갖지 않고 최고위 발언으로 대체한 것도 ‘사법 리스크’가 부각될 것을 우려해서라고 한다. 민주당 계열 정당 대표가 100일 기자회견을 하지 않은 건 2015년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이후 7년 만이다. 기자회견을 하면 질문이 ‘민생’보다는 ‘대장동’에 집중돼 100일 메시지가 묻힐 게 뻔하다. 준비되지 않은 발언을 했다가 향후 검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사법 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이 대표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민생제일주의 실천에 매진했다’는 이 대표의 자화자찬도 듣기에 민망하다. 이 대표는 취임 이후 ‘유능한 대안 야당’을 전면에 내걸고 민생 행보에 올인했다. 당내에 민생경제위기대책위를 만들었고, 이번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7대 민생법안’으로 노란봉투법과 양곡관리법 등도 제시했다. 그러나 정기국회 종료일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찾아볼 수 없다. 포퓰리즘 논란 속에 일부 법안은 소관 상임위에서 민주당 단독으로 통과시켰지만 법사위 관문을 넘지 못하고 있다.
취임 100일도 되지 않아 ‘이재명 사법 리스크’는 현실이 됐다. 이 대표를 넘어 당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최측근들이 줄줄이 구속되고 관련자들의 구체적 증언이 이어진다. 당내에선 대표직을 내놔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그런데도 ‘야당 탄압’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만 되풀이해선 설득력이 없다. ‘방탄’ 논란만 커질 뿐이다. 이 대표는 회피만 할 게 아니라 사법 리스크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 그래야 이 대표의 리더십 회복과 민주당의 안정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야당 대표라 다행”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