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대란 재발 안돼”서울시, 종합병원 증축시 용적률 120% 완화
건대·이대목동병원 증축 추진
민간 종합병원이 건물을 증축할 때 감염병 전담병상 같은 공공의료시설을 추가로 넣으면 서울시가 용적률을 120%까지 완화해준다. 건국대병원, 이대목동병원, 양지병원이 서울시가 마련한 지원책을 통해 증축을 본격 추진한다.
대신 종합병원은 완화된 용적률의 절반을 반드시 공공필요 의료시설을 채우는 데 써야 한다. 공공필요 의료시설이란 사회적으로 꼭 필요하지만 수익성 등을 이유로 병원이 선호하지 않는 시설을 일컫는다. 음압격리병상 같은 감염병 관리시설, 산모·어린이·장애인 의료시설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완화받는 용적률의 나머지 절반은 종합병원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서울시가 이같은 기준을 마련한 건 서울에 위치한 대부분 종합병원이 1970~1980년대 지어져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당시 규정에 따라 대부분 종합병원이 높은 용적률로 지어졌다는 데 있다. 이미 용적률을 꽉 채운 곳이 대다수라 코로나19가 유행할 때마다 병상 부족 사태를 겪었어도 대대적으로 증축을 하기 어려웠다.
늘어나는 전체 공공필요 의료시설 규모도 약 9만 8000㎡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서울시는 “이는 종합병원 2개를 새로 짓는 것과 맞먹는 효과”라고 주장했다. 가장 먼저 증축에 나설 병원은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병원,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관악구 양지병원이다.
서울시는 종합병원 증축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사전 컨설팅 제도도 마련했다. 관련 절차를 준비해온 병원들은 6일부터 서울시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코로나19 같은 위기 상황에서는 서울시내 전체 의료 인프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종합병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종합병원 증축을 서울시가 도시계획적으로 전폭 지원함으로써 공공의료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와 민간병원의 상생이 핵심인 이번 사업이 서울시 공공의료 역량을 한 단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한국 16강 진출 소식 들은 브라질 감독의 첫 마디 - 매일경제
- “어디서 많이 봤는데”…관중석 벤투 앞 이 남성의 정체 - 매일경제
- “사실 벗으면 안되는데”…마스크 손에 들고 80m 뛴 손흥민 - 매일경제
- 30대 김대리 부자 된 비결, 50대 ‘전통부자’와 딴판이네 - 매일경제
- “이러다 다 죽어”...화물연대 총파업에도 반사이익 누린 이 종목 - 매일경제
- 20세 만삭女 숨진채 발견…‘무료 나눔’ 글보고 외출 참변, 멕시코 발칵 - 매일경제
- “우리 그냥 이사가게 해주세요”...풀리지 않는 ‘실거주 족쇄’ [부동산 라운지] - 매일경제
- 文, 또 李 비방 트윗에 좋아요...김남국 “단순 실수” - 매일경제
- ‘갤탭’ 2백만원 찍겠네…삼성전자, 구형 제품 가격올린 이유 - 매일경제
- ‘아트사커’ 프랑스 vs ‘삼사자 군단’ 잉글랜드, 8강 격돌...빅매치 성사 [카타르월드컵] - MK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