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KBL 2라운드 리뷰] 용인 삼성생명, 1라운드 같지 않았던 2라운드

바스켓코리아 2022. 12. 5. 0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용인 삼성생명의 2라운드 경기력은 어땠을까?2022~2023 WKBL 2라운드가 막을 내렸다.

이제 2라운드라고는 하나, 강약 구도가 어느 정도 구분됐다.

임근배 삼성생명 감독은 1라운드에 보여주지 못했던 '섞어찌개'를 보여줬다.

4승 1패로 1라운드를 마쳤지만, 2라운드에서 2승 3패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용인 삼성생명의 2라운드 경기력은 어땠을까?

2022~2023 WKBL 2라운드가 막을 내렸다. 이제 2라운드라고는 하나, 강약 구도가 어느 정도 구분됐다. 그만큼 강팀과 약팀의 차이가 컸다.

하지만 6개 구단 모두 나름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인상적인 것도 있었고, 보완해야 할 점도 있었다. 현장을 돌아다닌 취재진이 구단별로 인상적이었던 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살펴봤다.

# 좋았던 점 혹은 인상적인 점

손동환
: 배혜윤(182cm, F)이 더 위력적이다. 페인트 존에서 중심을 잡아주기에, 어린 선수들이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강유림(175cm, F)이 돌풍을 지속하고 있다. 변함없는 화력을 보여주고 있다. 상대의 견제가 강해졌음에도, 강유림은 자신의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기복을 줄인 강유림은 삼성생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박종호 : 배혜윤과 강유림의 활약이 계속되고 있다. 신이슬(170cm, G)도 벤치에서 나와 식스맨 역할을 소화해주고 있다. 작년에 하위권이었던 삼성생명은 더 이상 약팀이 아니다. 거기에 키아나 스미스(177cm, G)도 팀에 더 적응하고 있다. 지금도 충분히 위력적이지만,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팀이다.
방성진 : 배혜윤이 에이스 역할을 꾸준히 한다. 강유림의 발전은 2라운드에도 여전하다. 임근배 삼성생명 감독은 1라운드에 보여주지 못했던 '섞어찌개'를 보여줬다. WKBL 6개 팀 중 가장 많은 선수를 활용하는 팀이다. 신이슬과 김단비(175cm, F), 이명관(174cm, F)의 활용도 또한 늘고 있다. 시즌 후반부에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요소다.

# 보완해야 할 점

손동환
: 배혜윤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격리 후 컨디션을 끌어올려야 한다. 키아나 스미스가 성장통을 겪고 있다. 무릎 통증도 최소화해야 하고, 상대의 달라진 대처에도 적응해야 한다. 이주연(170cm, G)과 신이슬 등 가드진의 득점 역시 올라가야 한다. 해야 할 게 생각보다 많은 삼성생명이다.
박종호 : 1라운드만 해도, 아산 우리은행과 함께 강력한 우승 후보로 뽑혔다. 하지만 2라운드에서는 그 위용을 잃어버렸다. 먼저 인천 신한은행에 패한 것이 아쉬웠다. 우리은행과 경기에서도 41점 차로 패했고, 부산 BNK 썸과의 경기에도 패했다. 4승 1패로 1라운드를 마쳤지만, 2라운드에서 2승 3패를 기록했다.
방성진 : 1라운드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핵심 자원인 배혜윤과 이주연이 각각 코로나19 확진과 부상으로 2경기나 결장했다. 키아나 스미스도 무릎 부상으로 1라운드만큼 영향력을 드러내지 못했다. 2라운드 3점슛 성공률이 약 24%에 불과하다. 리그 최하위 기록. 경기당 2개 이상의 3점슛을 시도한 선수는 9명이지만, 이들 중 3점슛 성공률이 30%를 넘는 선수는 강유림과 김단비 밖에 없다.

사진 제공 = WKBL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