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탈중국' 속도...인도·베트남 비중 확대

임선우 외신캐스터 2022. 12. 5. 03:4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탈중국' 계획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최근 협력업체들에게 중국이 아닌 인도와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의 생산을 더 늘려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애플 소식에 정통한 궈밍치 TF증권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 인도 비율이 40~45%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애플이 생산국가를 다변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은 최근 중국 정저우 공장에서 발생한 인력 이탈 및 시위 사태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만 폭스콘이 운영하는 정저우 공장은 아이폰의 최대 생산 기지로, 아이폰14 시리즈의 80% 가량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지난달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정책에 대한 현지 노동자들이 집단 탈출하고, 대규모 시위에 나서는 등 심각한 인력난에 빠졌습니다.

이같은 이유로 올해 아이폰 프로 생산량이 최대 600만대까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등 리스크가 커지자 중국 의존도 줄이기 계획을 본격화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애플은 또 최대협력사인 폭스콘에 대한 의존도도 줄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폭스콘은 지난 2019년 정저우 공장 한 곳에서만 320억 달러(약41조6천억원) 상당의 제품을 수출해, 중국 전체 수출에서 3.9%의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다만 생산거점 전환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도나 베트남에 애플 기술팀이 다양한 부품 제조업체들과 연계해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중국의 위치가 흔들리 않을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단순히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인도나 베트남 생산 공장은 중국을 대체할 수준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또 인도와 베트남의 생산환경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노동력이 풍부하다고는 하지만, 정저우 공장 한 곳에서만 수십만 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중국처럼 대규모 생산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또한 당국의 각종 지원을 받는 중국과는 달리 인도에서는 지역 정부의 복잡한 규제로 인한 제약이 적지 않다는 점도 문제점 지적되고 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