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애 칼럼] 디지털플랫폼정부, 헬스케어부터 엮자

2022. 12. 4. 19: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경애 ICT과학부장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전략을 다듬고 있다. 민관 협업으로 과학적 데이터를 이용해 국민이 가려워 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짚어서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겠다고 한다.

4년 6개월 후 윤석열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 받으려면 거기에 핵심으로 담아야 할 게 헬스케어다. 헬스케어는 데이터가 모여서 가장 폭발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다. 곳곳에 흩어진 데이터를 엮어 얻는 네트워크 효과도 크다. 고령화와 감염병, 건강보험 재정 문제로 인해 국민과 정부의 수요도 크다. 관련 기술이 충분히 무르익었고 의료현장과 산업계도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 지금이 'K-헬스 플랫폼' 도전을 시작할 적기다.

최근 정부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내놓고 2032년 달착륙, 2045년 화성탐사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한다. 그런 우주보다 더 까다로운 게 헬스케어다. 스페이스X 같은 절대적 강자가 독식하기 힘든 분야다. 혁신의 주체가 다양하고 담아야 하는 데이터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질병, 의약품, 유전체, 운동, 생활습관 등 헬스케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는 종류가 많으면서도 민감한 정보가 많다 보니 이를 연결하는 게 힘들다. 난제 중의 난제이고, '퀀텀 점프'가 불가능하다.

우주같이 대형 프로젝트에 올인하는 게 아니라 크고 작은 시도를 무수히 하는 방법밖에 없다. 다행인 것은 글로벌에도 아직 절대적 강자가 없다는 점이다. MS, 구글, 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의욕적으로 도전했다가 번번이 접었다. 기술과 자본만으로는 안 된다는 의미다. 사람과 의료현장, 기술, 산업, 제도가 함께 가 줘야 한다.

중요한 것은 최대한 많은 혁신 주체와 다양한 데이터가 엮이는 생태계를 만드는 일이다. 거기에 제도, 기술, 정부 사업을 파이프라인처럼 깔아줘야 한다. 관련 생태계를 키우려면 마이데이터, 바우처, 의료·산업계 컨소시엄 지원방식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나온 데이터융합 방식은 금융 분야에서 자리잡은 마이데이터 정도다. 데이터를 연결하는 표준을 만들어주고 핀테크 기업들을 시장의 미꾸라지로 푼 결과 대형 금융기관들도 경쟁적으로 뛰어들었다. 헬스케어에서도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바우처, 데이터 바우처같이 전문기업이나 기관 및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한 기업, 병원, 기관을 한 팀으로 묶어주는 바우처 사업방식도 효과적 이겠다. 이를 통해 '풀뿌리 헬스케어 혁신'의 저변을 키울 수 있다. 정부 프로젝트는 단일 기업이나 기관을 선정해 지원하는 대신 복수의 혁신주체를 컨소시엄 형태로 지원함으로써 장기적으로 협력하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데이터 수집과 융합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연합학습(FL)도 도입할 만하다. 연합학습은 데이터를 직접 공유하지 않고도 마치 한 곳에 수집해 학습한 것같이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개인정보보호 이슈에서 자유로우면서 플랫폼 기업이 데이터를 독식하는 불평등 문제를 막을 수 있다.

K-헬스 플랫폼이 작동하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게 참여자들이 모두 이익을 얻는 인센티브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다.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동네병원과 헬스케어·건강관리 서비스 기업, 모바일 기기 기업, 통신사 등이 팀을 꾸리고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시너지를 얻는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주민들의 주치의 역할을 하는 동네병원 의사들에게 중요한 미션을 주고 의료수가 우대 등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 대형병원은 전면에 나서지 않되 동네병원에 기술과 지식을 서비스하는 공조체계를 만드는 것도 유용하다. 크고 작은 시도에서 성공 경험을 쌓으려면 일정 정도의 중복투자는 감수해야 한다. 험난한 여정을 시작하는 초보운전자의 마음으로, 그러나 목적지에 꼭 성공적으로 닿겠다는 담대한 마음으로 이제 발걸음을 내딛어야 한다. ICT과학부장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