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엣지 컴퓨팅’ 클라우드 기술특허 10년새 3.5배 껑충

김원준 2022. 12. 4. 18: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서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일부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엣지 컴퓨팅'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엣지 컴퓨팅은 중앙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달리, 센서, 사용자 단말기 등 데이터가 발생하는 주변(엣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처리 한계에 기술개발 활발
韓, 매년 15%씩 성장… 세계 2위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서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일부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엣지 컴퓨팅'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엣지 컴퓨팅은 중앙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달리, 센서, 사용자 단말기 등 데이터가 발생하는 주변(엣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부하와 응답시간을 감소시켜, 실시간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자율주행, 몰입형 서비스(증강현실·가상현실) 및 스마트 팩토리·팜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4일 특허청에 따르면 한·미·일·중·유럽연합 등 주요 5개국 특허청(IP5)에 출원된 엣지 컴퓨팅 기반의 클라우드 기술에 대한 특허가 최근 10년(2011~2020년) 사이 1033건에서 3659건으로 3.5배 증가했다.

출원인의 국적별로는 미국이 40.8%(8228건)로 가장 많고, 중국 35.5%(7175건), 일본 5.8%(1169건)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3.8%(776건)로 4위를 차지했으며, 독일이 3%(602건)로 5위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출원 증가율은 연평균 15%로 중국(35.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세를 보여 최근 엣지 컴퓨팅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가 매우 활발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주요 출원인 별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460건(2.3%)을 출원 1위를 차지했으며, 2위 애플(2.1%·427건), 3위 인텔(1.9%·387건), 4위 메타(1.5%·295건), 5위 구글(1.4%·281건)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국내 출원인 중에서는 삼성(1.2%·250건)이 가장 많이 출원했고, LG(65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38건) 순이었다. 뒤를 이어 벤처기업인 ㈜자비스넷이 4번째로 많은 15건을 출원했다.

세부 기술분야별로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과 같은 몰입형 서비스 분야(7322건)와 제조·농업 분야(7309건)의 출원이 많았으며, 통신 프로토콜 분야(5666건), 인공지능(AI) 학습모델 분야(2231건), 자율주행 분야(273건) 순이었다. 이 가운데 인공지능 학습모델에 관한 출원이 연평균 49% 증가한 점이 눈길을 끈다. 이는 향후 인공지능 기반 엣지 컴퓨팅 시장의 가파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치라는 분석이다.

박재일 특허청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장은 "사물인터넷(IoT) 등과 결합하는 엣지 컴퓨팅에서는 중소 벤처기업들도 기회를 찾을 수 있다"며 "특허청은 중소 벤처기업들이 이 분야의 특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