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오는 흔들려도 … 민주노총, 6일 총파업 밀어붙인다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박동민 기자(pdm2000@mk.co.kr) 2022. 12. 4.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하철·철도 이탈로 동력 약화
민주노총 전방위 총파업 차질
쇠구슬 발사 등 운송방해 혐의
부산서만 조합원 7명 입건돼

민주노총이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정부의 엄정 대응 경고에도 불구하고 6일 총파업을 강행할 예정이다. 총파업 전날인 5일에는 국가인권위원회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를 규탄할 계획이어서 '강대강' 대결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철도, 병원, 학교 비정규직 등의 파업이 잇따라 철회되면서 민주노총이 주도하는 '동투(冬鬪)'의 동력은 약화되는 모습이다.

민주노총은 지난 3일 오후에도 서울 국회의사당역 인근과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각각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추산으로 서울에서 6000여 명, 부산에서 4000여 명의 조합원이 참여했다. 이날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은 업무개시명령을 거듭 '계엄령'에 비유하면서 "화물노동자 생계를 볼모로 노예의 삶을 강요하기 위해 노동자에게 목줄을 채우려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를 받지 않으면 처벌하겠다고 협박하는데, 화물연대는 공공운수노조 산하의 정당한 노동조합이며 사업자단체가 아니기에 이를 당당히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일 공정위는 조사관 17명을 파견해 서울 강서구 화물연대노조 사무실 현장조사를 시도했으나 노조원들에게 막혀 건물에 진입하지 못했다. 공정위는 화물연대가 비조합원의 운송 거부를 강요했는지, 다른 사업자의 운송을 방해하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이었다.

민주노총은 6일 전국 16곳 주요 거점에서 동시다발 총파업을 예고했으나 대오가 흔들리는 모습이다. 화물연대뿐 아니라 철도와 병원, 학교 비정규직 노조까지 합세해 전방위적 총파업을 만들려던 계획이 틀어졌기 때문이다.

철도를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와 코레일 노조는 이미 대오에서 이탈했다. 서울교통공사의 파업 첫날인 지난달 30일 저녁 강남 등 주요 지하철역에서 극심한 혼란이 발생하며 "계단에서 도미노처럼 넘어질 뻔했다"는 시민 호소가 잇따랐다. 이에 부담을 느낀 노사가 당일 자정께 합의안에 도장을 찍고 파업을 중단했다.

지난 2일 파업을 예고했던 철도노조는 당일 오전 4시 30분께 극적으로 사측과 합의를 이뤄 열차는 정상 운행됐다.

화물연대의 자체적인 파업 동력도 힘을 잃어가는 추세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2일 시멘트 운송사 201개에 대해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운송 거부 화물차주 791명의 명단을 확보해 우편 송달,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운송개시명령서를 전달했다. 명령서를 받은 화물차주 175명이 운송을 재개했거나 재개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는 5일 운송사와 화물차주를 대상으로 운송 재개 현황 조사에 착수한다. 화물연대는 5일 오전 11시께 국회 농성장 앞에서는 참여연대, 민중행동 등 시민단체와 결합해 '화물연대에 대한 전방위 탄압 중단 촉구와 윤석열 정권 강력 규탄 긴급기자회견'을 열 방침이다. 6일에는 부산 신선대부두, 광양컨테이너터미널, 당진 현대제철 C정문 등 16곳에서 지역별 대회를 열고 총파업에 돌입한다.

한편 화물연대 총파업이 11일째에 접어든 가운데 부산경찰청은 화물연대 총파업과 관련해 화물차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 9건을 확인하고 피의자 7명을 조사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이들은 비조합원의 트레일러 차량에 라이터를 던지거나 쇠구슬을 발사하는 등 혐의로 입건됐다. 체포하는 경찰관의 손가락을 깨문 조합원도 있었다.

[권오균 기자 / 박동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