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규제로 국내 성장 한계” 뚜레쥬르 美사업에 미래 걸었다

최재원 기자(himiso4@mk.co.kr) 2022. 12. 4. 17: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일 갓구워낸 300여종 빵으로

현지 소비자 다양한 취향 공략

한국보다 객단가 두 배 높아

사업 본무대 미국으로 이동

CJ푸드빌이 미국에 대규모 제빵 공장 건립에 나선 것은 미국에서 최근 빵을 비롯한 K푸드의 인기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한국 베이커리의 빵을 한 번 맛본 현지 소비자들의 대량 재구매가 많고 수익성도 한국에 비해 훨씬 높다. 국내와 달리 프랜차이즈 출점 제한이 없어 향후 성장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CJ푸드빌이 미국 내 뚜레쥬르 사업을 키워 중장기적으로 제빵 사업의 본무대를 미국으로 옮기는 것까지 염두에 두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 국내 매장은 10년째 매장수가 1300여개에서 정체돼 있다. 골목상권 보호를 명분으로 한 정부 규제로 인해 대기업 계열 제과점은 지난 2013년부터 동네 빵집 근처 500m 이내에 매장을 열 수 없고, 점포 수 또한 전년 대비 2%를 초과해 늘릴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 시장은 출점 규제가 없다. CJ푸드빌은 지난 2004년 뚜레쥬르로 미국에 처음 진출하며 해외 사업을 개시했다. 초기에는 직영 형태로 발판을 다져오다 2009년부터 가맹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로스엔젤레스(LA),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등 21개주에서 총 82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한 명의 가맹점주가 2개 이상 매장을 운영하는 다점포 가맹점 비율이 46%에 달한다. 실제 매장을 운영해 본 점주가 사업성을 확인하고 추가로 매장을 출점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업자 만족도가 높음을 뜻한다.

CJ푸드빌에 따르면 올해 신규로 오픈하거나 가맹 계약을 체결한 매장이 50개 이상일 정도로 매장수 확대 속도가 빠르다. 회사 관계자는 “주로 테이크아웃 형태인 국내 매장과 달리 미국 뚜레쥬르 매장은 베이커리 카페형으로 규모가 훨씬 크고, 점당 매출 역시 국내에 비해 높다”고 말했다.

실제 LA 웨스트코스트 지역에 위치한 ‘세리토스점’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2020년 4월 323㎡(100평) 면적에 약 70석의 대형 매장으로 개점했는데, 이 곳의 커피를 포함한 음료 매출은 인근 스타벅스의 매출보다 높을 정도로 영업이 잘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현지 빵집들은 대부분 품목이 다양하지 않다. 이에 비해 뚜레쥬르는 이른 아침부터 300여 종의 갓 구워낸 빵을 내세워 미국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근 2년 간 오픈한 신규 매장들의 현지인 고객 비중은 70%를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뚜레쥬르 매장의 객단가도 국내보다 2배 가량 높다. 한국에서 2000원대 초반에 판매되는 크림빵이 미국에서는 원화 기준 4000원대 중반에 판매되고 있다. 높은 객단가와 대량 재구매 등 영향으로 뚜레쥬르 미국법인은 지난 2018년 CJ푸드빌 해외법인 가운데 최초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올해까지 5년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음식료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때 받는 평가도 미국이 한국보다 훨씬 후한 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외식업체의 경우 한국은 보통 주가수익비율(PER) 8배 수준이지만 미국에선 20배 정도로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푸드빌 내부에선 규제를 피해 본사를 미국으로 옮기는 아이디어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뚜레쥬르는 현재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몽골 등 동아시아 전역에서 점포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

한편 CJ푸드빌은 뚜레쥬르를 미국내 전국 체인으로 키운 뒤 이를 기반으로 다른 외식사업까지 재도전에 나설 전망이다. 푸드빌은 앞서 10여년전 비비고 한식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미국 싱가포르 등에 열었지만 현지 식자재 및 조리인력 수급에 난항을 겪으면서 전면 철수한 바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