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동난 주유소 74곳…화물연대 주말 파업참여는 다소 감소

박초롱 2022. 12. 4.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추산한 화물연대의 주말 총파업 집회 참여 인원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정부와 화물연대가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당장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은 낮지만, 업무 복귀자가 늘면서 물류 마비가 점차 풀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품절 주유소 수도권→지방 확산…석유화학 누적 출하차질 1조 넘어
어젯밤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량 평시 33%…1주전보다 2배 늘어
정부추산 파업참여자 30% 감소…화물연대 "인권위 개입해달라"
'휘발유 없습니다' 품절 안내문 붙은 주유소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이 11일째 이어지고 있는 4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휘발유 품절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2.12.4 ryousanta@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추산한 화물연대의 주말 총파업 집회 참여 인원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정부와 화물연대가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당장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은 낮지만, 업무 복귀자가 늘면서 물류 마비가 점차 풀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토부는 4일 화물연대 조합원 2천900명이 전국 130여 곳에서 집회를 벌이거나 대기할 예정인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 일요일 정부 추산 집회 참여 인원(4천300명)보다 32%가량 줄었다.

다만, 토요일인 전날 참여 인원은 5천100명으로, 일주일 전(4천300명)보다 늘어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시멘트 분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이후, 비조합원들 사이에 복귀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일부 조합원까지 업무로 돌아와 물동량이 회복 추세를 보인다고 판단한다.

전국 12개 항만의 밤 시간대(전날 오후 5시∼이날 오전 10시) 컨테이너 반출입량(1만2천782TEU)은 평시의 33% 수준이었지만, 일주일 전 같은 기간의 반출입량(6천208TEU)보다는 2배 가까이로 늘었다. 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를 뜻한다.

하루 반출입량은 지난 2일 평시의 69%, 3일엔 63%로 올라왔다.

컨테이너 반출입량 규모가 가장 큰 부산항의 밤 시간대 반출입량은 1만862TEU로 평시의 42% 수준이었다. 역시 일주일 전보다 2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휘발유 재고 없어요"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화물연대가 총파에 들어간 지 11일째로 접어든 4일 대전의 한 주유소 주유기에 휘발유 재고가 떨어져 주유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2.12.4 youngs@yna.co.kr

현재 문제가 가장 심각한 쪽은 정유 분야 피해다.

전날 오후 2시 기준으로 기름이 동난 주유소는 전국에서 74곳으로 늘었다. 서울이 31곳으로 가장 많고 경기 15곳, 강원 10곳, 충북 3곳 등 지방 주유소에서도 기름이 품절됐다. 품절 주유소가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열흘간 석유화학 업계의 누적 출하 차질 물량 규모는 약 78만1천t(톤)으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173억원에 달한다.

정부가 조만간 국무회의를 열어 업무개시명령을 시멘트에서 정유 분야까지 확대할지 주목된다.

화물연대의 상급 단체인 민주노총은 전날 서울과 부산에서 파업에 힘을 보태기 위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여기서 화물연대는 정부의 압박에 굴하지 않고 파업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은 국가인권위의 개입도 촉구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는 화물노동자들의 파업이 열하루째에 접어들었지만, 정부의 탄압은 흉포함만을 더하고 있다"며 "정부가 위법한 업무개시명령을 철회하고, 헌법상 기본권과 국제기구 협약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정권 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국가인권위가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chopar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