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장비 늘어나는 車, 리콜 대수 10년 새 10배 폭증

박진우 기자 2022. 12. 4.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년 사이 자동차 리콜(제작결함시정) 대수가 약 10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 부품의 공유, 모듈화로 최근 자동차는 문제가 생길 경우 대규모 리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전장 관련 결함의 경우 원인이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다"라며 "제조사는 소비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리콜을 한다고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안전하지 않는 차를 타야한다는 불안감이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자동차 리콜 300만대 첫 돌파
전동·전장화로 원인 모르는 리콜 ↑

최근 10년 사이 자동차 리콜(제작결함시정) 대수가 약 10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리콜은 자동차 제조사가 결함을 인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지만, 사고 위험이 있는 차가 도로 위에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자동차의 전자장비(전장)화와 전기동력(전동)화가 진행되면서 결함 실체를 알 수 없는 리콜도 증가하고 있다.

4일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지난 2011년 26만8658대였던 자동차 리콜은 지난해 265만5115대로 9.8배 증가했다. 올해는 11월까지 누적 리콜 대수가 318만1496대를 기록해 이미 작년 수치를 크게 넘어섰다. 한 해 리콜이 300만대를 넘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가 2491만대(2021년 기준)라는 점을 고려하면 10대 중 1대는 결함이 있다는 의미다.

올해 리콜 건수 가운데, 국산차는 262만9798대로 82.7%의 비율을 차지했다. 수입차는 55만1698대(17.3%)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산차와 수입차의 비중은 각각 58.9%, 41.1%였는데, 올해 국산차 비중이 크게 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서비스센터 직원들이 자동차를 정비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메르세데스-벤츠 제공

업계는 자동차 회사가 과거보다 적극적으로 결함을 인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리콜 대수의 증가로 이어졌다고 본다. 결함을 숨기기 보다는 소비자를 위해 제조사가 먼저 나서 제품의 신뢰를 높이려 하면서 리콜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이전과 비교해 자동차 결함을 잡아내는 능력이 좋아진 것도 리콜 증가의 이유로 여겨진다. 업계 관계자는 “리콜은 소비자를 위해 자동차 회사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라며 “리콜이 많다는 것을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제조사가 사전에 안전품질을 챙기지 못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최근에는 특정 부품을 여러 차종이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한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수백만대 규모의 리콜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대차그룹의 세타2 엔진 결함, BMW그룹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결함, 폭스바겐그룹 디젤 게이트 등이 대표적이다. 모두 수십 개 차종이 얽혀 있는 대규모 리콜이다. 올해 국산차 리콜이 증가한 것도 현대차·기아의 제동장치 관련 리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자동차 모듈화는 원가절감과 생산효율에 초점을 맞춘다. 폭스바겐 구매 부문의 한 관계자는 “리콜 규모가 커지더라도, 원가절감, 생산효율 차원에서 브랜드 및 차종 간 부품 공유를 포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전기차가 생산되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테슬라 제공

자동차 전장화도 리콜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 기계적 결함과 달리 전장 결함은 눈에 보이지 않아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전기차 등 자동차의 전동화 역시 새로운 리콜 문제를 불러 온다. 지난해 9만대 수준이던 전기차 리콜은 올해 상반기 10만대 이상으로 훌쩍 뛰었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향후 자동차 리콜은 그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 부품의 공유, 모듈화로 최근 자동차는 문제가 생길 경우 대규모 리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전장 관련 결함의 경우 원인이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다”라며 “제조사는 소비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리콜을 한다고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안전하지 않는 차를 타야한다는 불안감이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