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남성 절반은 ‘비만’…30~40대서 비율 가장 높아

이승구 2022. 12. 3. 13: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만 치료 위해 병원 찾는 남성 환자, 여성의 절반 밑돌아
치료 필요성 인식 부족…청장년 남성들 동반 질환 발병 위험↑
개인 의지나 습관 개선 만으로는 감량 실패…적절한 치료 병행해야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우리나라 남성의 절반은 ‘비만’이라는 통계가 나오는 가운데 사회생활이 활발한 30~40대 남성에서 비만율이 높게 나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 건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남성 비만은 비만의 정도가 여성보다 높고 비교적 젊은 나이에 나타나는데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남성 환자 수는 여성 환자 수의 절반을 밑돌고 있어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은 물론, 청장년 남성들의 동반 질환 발병 위험이 클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개인 의지나 습관 개선만으로는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는 게 필요하다고 전문가는 조언한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국민건강통계에서 남성의 48%가 비만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인 2010년(36.4%)보다 11.6%p(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비만 진단에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인 ‘체질량지수(BMI)’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다. 지수가 23~24㎏/㎡면 ‘과체중’,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각각 진단하며 몸무게 상관없이 남성은 허리둘레 90㎝ 이상, 여성은 85㎝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

특히 남성 비만의 경우, 비만의 정도가 여성보다 높고 비교적 젊은 나이에 나타난다는 게 특징이다.

대한비만학회 분석 결과, 2009~2019년 11년간 남성에서의 고도비만, 초고도비만 발병률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여성은 고령층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았고, 남성은 30대(52.2%)와 40대(50.8%)에서 가장 높았다.

게티이미지뱅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남성 환자는 9676명으로 여성 환자(2만494명)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30~40대 남성 비만율이 같은 연령대 여성 비만율의 2배 이상인데도 대부분 여성만 치료받는 셈이다.

의료계는 남성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더라도 이에 대한 객관적 인지가 여성보다 낮고, 스스로 체형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원인으로 꼽는다. 하지만 비만은 체형 변화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유발한다는 게 여러 연구로 드러나고 있다.

비만학회가 낸 ‘2021 비만 팩트시트’에 따르면 비만 인구는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정상 체중 인구보다 2.6배 높다. 특히 젊은 연령일수록 증가가 뚜렷해 20~39세의 비만 환자는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도가 정상 체중 인구의 5.9배에 달했다.

이와 함께 심근경색(1.2배), 뇌졸중(1.1배), 갑상선암(1.5배, 남성 기준) 모두 정상 체중 인구 대비 비만 환자에서 그 위험도가 증가한다. 이밖에 근골격계 질환, 담석 발생률 증가, 호흡기계 질환, 신경계 질환의 발생 위험과 정신적 질환과의 연관성도 규명된 바 있다.

여기에 남성 비만의 경우 남성호르몬 농도가 저하되며, 이는 ‘성선기능저하증’의 원인이 돼 발기부전, 성기 크기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비만에 따른 남성호르몬 농도 감소는 국내 젊은 남성 비만 환자에게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교실은 3년간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20~39세 비만 남성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혈청 남성호르몬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이 높을수록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았다.

이들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남성호르몬 농도의 감소는 내장지방 비율을 높이고, 상하부‧뇌하수체‧생식선 축을 억제한 채 남성호르몬 농도를 악화시켜 비만과 남성 호르몬은 서로 ‘쌍방향적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비만은 정확한 의학적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의료계는 식사치료, 운동치료, 행동치료를 포함하며 부가적인 방법으로 약물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현 교수는 “최근 젊은 남성층에서 계속 환자가 증가하는 데 병원을 찾는 비율은 낮다”며 “특히 최근 급증한 고도비만 환자들은 개인 의지, 습관 개선만으로는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를 병행하는 게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