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반도체 2차 대전...美에 맞서 中 독자설계 잰걸음 [MK위클리반도체]

오찬종 기자(ocj2123@mk.co.kr) 2022. 12. 3. 1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29일(현지시간 ) 미시간주에 위치한 SK실트론CSS 공장을 방문해 웨이퍼를 바라보며 지안웨이 동 SK실트론CSS 대표의 설명을 듣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카바이드 웨이퍼를 생산하는 이 공장은 지난 9월 양산에 들어갔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세계 패권 전쟁의 한복판에 반도체 산업이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더욱 격화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동맹국 한국 기업의 반도체 생산 라인을 찾아 중국을 함께 견제하자고 메시지를 내놨고 이에 대해 중국은 독자적인 반도체 설계에 나서기로 하면서 맞불을 놨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9일(현지시간) SK실트론CSS의 미시간주 베이시티 신공장을 찾아가 “더 이상 (중국 반도체 공급망에) 인질로 잡혀 있지 않겠다”고 선전 포고를 했습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 같은 외국에 의존하는 대신에 앞으로 반도체 공급망은 여기 미국이 될 것”이라며 “이것은 게임체인저”라고 단언했다. SK실트론CSS는 SK실트론의 미국 자회사로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소재인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웨이퍼’를 생산해 북미 전기차용 소재로 주로 공급합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뿐만 아니라 친환경 전기차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현지의 한국 투자 사업장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SK실트론은 지난 2020년 2월 미국 미시간주 오번에 위치한 듀폰 웨이퍼 사업부를 4억5000만달러(약 6000억원)에 인수해 미국 자회사인 SK실트론CSS에 이전했습니다. 이어 인근 베이시티 지역에 3억달러(약 40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해 신공장을 짓는 중입니다. 미국 기업 인수 후 재투자하고 일자리도 창출하는 사례입니다. 지난 3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10주년을 기념해 한미 통상장관이 이곳을 다녀가기도 했습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공장을 둘러보며 “최태원(SK) 회장이 좋은 친구가 됐다는 것을 상기시킨다”고 소감을 말했습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7월 백악관으로 최태원 SK 회장을 초청했지만 코로나19 확진에 따른 격리 문제로 벽을 사이에 두고 영상으로 면담했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백악관에서 최 회장과의 영상 회담 일화도 소개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 회장이 백악관을 방문해 500억달러 투자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며 “당시 나는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고 3층에서 아래로 내려올 수가 없었다”고 회고했습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최 회장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같다’고 했다”며 “나는 3층 발코니에서 최 회장에게 손을 흔들면서 ‘우리에게 올 거지’라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행사장에서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은 “현재 SK그룹은 미국 15개주에 5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는데 2025년까지 2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SK실트론CSS 미시간 공장 방문에서 보듯 반도체 공급망은 ‘안보자산’의 위치로 격상된 상태입니다. 반도체 공급이 끊기자 산업 전체가 멈춰 서는 현상을 세계가 눈앞에서 목도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견제에 맞서 중국은 반도체 제조를 넘어 설계 분야에서 독자 방식 도입으로 속도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강조한 반도체 자급자족을 위한 민관 컨소시엄인 ‘베이징 오픈소스 반도체 연구원’에 중국 정보기술(IT) 공룡인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참여합니다. 두 기업은 오픈소스형 반도체 설계 구조인 ‘리스크파이브(RISC-V)’를 사용해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국 ARM 의존도를 낮출 계획입니다.

중국 정부 차원에서 RISC-V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가장 큰 목적은 반도체 자립입니다. 그간 중국 주요 기업은 영국 반도체 지적재산권(IP) 제공업체 Arm에서 제공하는 명령어셋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반도체를 제작해 왔습니다. ARM 아키텍처 이용자는 보다 쉽게 반도체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기업 대부분은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서버용을 비롯한 칩을 설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ARM은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업체이고, 일본 소프트뱅크를 모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 동맹 관계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꾸준히 드러내 왔습니다. 영국도 최근 정계를 중심으로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과의 동맹체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곧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ARM을 제재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잠재 위협을 의미합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 중국은 RISC-V 아키텍처 명령어셋을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에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장은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별도의 기업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입니다.

컨설팅 업체 딜로이트는 이 같은 중국의 지원으로 RISC-V가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딜로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RISC-V 시장 규모는 2021년 4억달러(약 5216억원) 가량 됐는데, 2024년에는 10억달러(약 1조304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