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혁명, 수소 ①] 2050년 2674조원 규모 ‘수소 시장’ 열린다

2022. 12. 3. 08: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빈 살만도 눈독 들인 ‘수소 에너지’
올해 전 세계서 600개 프로젝트 추진
“생태계 육성 위해 정부·기업 협력해야”
현대로템의 수소전기트램 조감도. [현대로템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수소산업이 미래 경제를 이끌 차세대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전 세계 최고 부호로 알려진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가 최근 방한해 국내 재계 총수들과 잇달아 수소 인프라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하면서 국내 수소산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리 정부 역시 한덕수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수소경제위원회를 꾸린 데 이어 수소경제와 관련된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등 수소 생산, 저장, 운송 분야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3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그룹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수소 시장 규모는 2조610억 달러(한화 약 267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전 세계 43개국에서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약 600건 이상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는 2400억 달러에 달한다.

수소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수소 전략을 발표한 국가는 17개에 달한다. 또 20개 이상의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미래 전략을 개발 중이다.

전문가들은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전체 가치사슬의 완결성을 갖춘 수소 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한 국가가 향후 막대한 부가가치를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별 기업의 경쟁력은 물론 플랜트, 조선 등 대형 인프라 산업부터 부품 소재 산업까지 아우르는 전체 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전반적으로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수소차 충전 모습.[123RF]

지금까지 국내 수소 정책은 수소승용차와 발전용 연료 전지 등 일부 활용 분야에 집중돼 산업이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생태계가 그레이 수소를 중심으로 이뤄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미흡하다는 점도 한계였다.

그레이 수소는 천연가스를 개질해 제조하는 수소다.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만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저장하는 과정을 거치면 ‘블루 수소’가 된다. 탄소 절감을 목표로 한다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생산하는 이른바 ‘그린 수소’ 공급을 늘려야 한다.

이에 윤석열 정부는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3대 성장전략으로 ▷규모·범위의 성장(Scale-Up) ▷인프라·제도의 성장(Build-Up) ▷산업·기술의 성장(Level Up)을 제시했다.

발전·수송 분야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수소버스·트럭 등 대형 모빌리티 보급을 확산해 규모의 경제를 키우겠다는 것이 목표다. 또 유통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수소 활용 분야뿐만 아니라, 생산, 유통 등 전 주기에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 엿보인다.

한덕수 국무총리(가운데)가 지난달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구체적으로는 수소상용차 보급을 올해 211대 수준에서 2030년 3만 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아직 0개인 액화수소충전소는 2030년 70개소로 확대한다. 청정수소 발전 비중도 올해 0%에서 2036년 7.1%까지 늘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향후 지속적인 수소 수요 증가를 고려해 수소 유통, 수소를 활용한 항만 운영이 가능하도록 수소항만 구축 전략도 수립할 예정이다. 현재 52개사에 그치는 수소전문기업은 2030년 600개까지 육성한다는 그림이다.

주요 수전해 생산기술의 국산화와 해상 운송·저장 기술을 고도화하고, 수소전기차 기술 확보와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선점에도 집중한다. 16만㎞의 수소트럭 내구연한을 2030년 80만㎞까지 늘리기 위한 연구도 지원한다. 항공기·철도·선박 등에 수소연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철도, 선박용 연료전지 내구성 강화 기술도 개발한다. 또 항공용 경량형 연료전지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최용호 딜로이트 에너지 섹터 담당 파트너는 “수소경제 전환은 비단 한국의 에너지 믹스뿐만 아니라 산업구조, 운송시스템, 외교통상, 산업정책, 과학기술정책 전반의 상호 연계 추진이 요구되는 과제”라며 “기업과 정부 간 기술·사업적 준비 수준과 전환 속도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향후 수소경제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경로에 대해서도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하고 있는 380MW 급 수소터빈의 축소모형.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jiyu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