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김’은 三金이 아닙니다 ‘삼각김밥’ 줄인 말입니다

곽아람 기자 2022. 12. 3.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의 트렌드

정유라 지음|인플루엔셜|340쪽|1만6800원

요즘 고등학생들에게 ‘삼김’은 ‘三金’이 아니다. ‘삼각김밥’의 줄인 말이다. 이들이 ‘편도’라 한다 해서 ‘片道’를 떠올리면 곤란하다. ‘편의점 도시락’의 준말이다. 별걸 다 줄인다고? MZ세대는 그 말조차 ‘별다줄’이라 줄인다.

저자는 빅데이터 분석 기업 연구원으로, 온라인 공간에 사람들이 남긴 말의 의미를 발굴한다. 그는 ‘국어 파괴’ ‘소통의 단절’ 등이 줄인 말에 덧씌워진 누명이라 말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체부’라 줄이면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아아’라 하면 왜 안 되나? “소통에서 어휘보다 중요한 것은 태도다. ‘그걸 왜 줄여?’가 아니라 ‘그걸 왜 줄였을까?’ 하고 궁금해한다면 일단 소통할 자세는 준비된 것이다.”

‘삼김’이라는 단어는 학원 스케줄에 쫓겨 편의점 음식으로 끼니를 때우기 일쑤인 고등학생들의 ‘단축키’다. 말에는 삶이 녹아있다. ‘외계어’라 비난하기 전에 그 말을 쓰는 이들의 삶을 이해해 보자.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