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신준봉 2022. 12. 3. 00: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김상미 지음
문학동네

팔자타령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이 인생의 비관론자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신세 한탄의 힘으로 스트레스를 방출한 다음 힘겨운 인생길 또 한고비를 넘으려는 사람 아닐까. 다섯 번째 시집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를 낸 시인 김상미는 “문학이라는 그 사나운 팔자”와 어떻게든 사이 좋게 동거해보려는 사람이다.

시집에 따르면 김상미씨는 “더럽게 춥고, 어둡고, 외롭고, 고달파도”(‘문학이라는 팔자’) “설사 시가 아니라 해도/ 삐뚤삐뚤, 비틀비틀, 넘어지고, 엎어지면서도” (‘시인의 말’) 계속해서 시를 써왔다. 마치 그것만이 문학 하는 팔자, 그 지독한 불운과 화해하는 유일한 방법이 되기라도 하는 것처럼 말이다. 랭보·윤동주 같은 시인들의 문학이 결국 죽음까지 뛰어넘어 지금까지 반짝반짝 빛나지 않느냐는 것이다.

오늘의 김상미 시편이 훗날 문학사에 살아남을지는 누구도 모른다. 다만 “신(神)이 아픈 날 태어”나 어딘가 이상 감각을 타고난(혹은 체득한) 시인의 눈에 비친 우리가 사는 세상 역시 병든 시인, 병든 신 이상으로 병들어 있는 듯하다. ‘살아 있는 시체들의 나라’ 같은 시는 세태 비판시다. ‘제발 잡히지만 말고’ 같은 작품은 속도감이 돋보인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