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광우의시네마트랩] 한류와 K콘텐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지금까지 한국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끈 현상을 흔히 '한류'라고 불렀다.
한류는 외국 수용자들이 한국 대중문화를 받아들인 흐름이자 유행이었다.
K콘텐츠는 한국에서 생산해 외국에 수출하고 싶은 문화상품들을 통칭하려는 용어이고, 전 세계 공용어라는 영어의 지위를 빌려 동아시아 권역을 넘어 아시아 이외 지역에도 소구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문화산업에서 ‘K콘텐츠’라는 단어가 새로 등장해 ‘한류’와 경합하고 있다. 한류는 중화권에서 한국 대중문화를 일컬었던 단어이고, K콘텐츠는 우리가 만든 영어 단어라는 점이 다르다. 한류는 외국 수용자들이 한국 대중문화를 받아들인 흐름이자 유행이었다. 유행은 언젠가는 쇠퇴하거나, 그 현상 자체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면 그 현상 자체에 대한 주목은 떨어지게 된다. K콘텐츠는 한국에서 생산해 외국에 수출하고 싶은 문화상품들을 통칭하려는 용어이고, 전 세계 공용어라는 영어의 지위를 빌려 동아시아 권역을 넘어 아시아 이외 지역에도 소구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이 단어에는 대중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국가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바라는 기대도 담겨 있다. 그렇지만 ‘F컬처’라는 말이 없어도 프랑스의 문화적 우수성을 다 아는 사례와 같이 굳이 그런 단어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는가 하는 생각은 든다.
아울러, 지금 해외에 소개되는 한국의 문화상품이 과연 한국적인 문화를 담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은 지금 문화상품의 국제 유통시장에 한국적 특색이 담긴 문화상품과 한국적 특색이 적은 문화상품을 동시에 수출하고 있다. 한국 경제구조는 수출지향적인 경제구조이다. 그런데, 이 수출은 해외에서 원자재를 수입해 부품이나 완성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가공무역이지 순수하게 한국에서 난 재료로만 제품을 만들어 수출한 것이 아니다. 한류든 K콘텐츠든, 수출하는 문화상품도 그럴 뿐이다.
노광우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선우은숙 “녹취 듣고 혼절”…‘처형 추행’ 유영재 징역 5년 구형
- “아내가 술 먹인 뒤 야한 짓…부부관계 힘들다” 알코올중독 남편 폭로
- “남친이 술 취해 자는 내 가슴 찍어…원래는 좋은 사람“ 용서해줘도 될까
- 코로나 백신 접종한 여성서 가슴 ‘매우 크게 증가’하는 부작용 보고
- 고경표, ‘무인사진관 음란행위’ 루머에 법적대응 “허위사실, 선처나 합의 없어”
- 황정음, 이혼 고통에 수면제 복용 "연예계 생활 20년만 처음, 미치겠더라"
- 은지원, 뼈만 남은 고지용 근황에 충격 "병 걸린 거냐…말라서 걱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