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업계, 서정숙 의원 제약산업 지원 특별법 개정안에 반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약바이오 산업계가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약바이오산업혁신위원회' 설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전부터 부처 간 칸막이와 중복사업 등 비효율을 방지하고,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 중장기 육성전략 수립과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 설치를 요구해 왔다"며 "개정안에 담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약바이오산업혁신위원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육성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제약바이오 산업계가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약바이오산업혁신위원회’ 설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등 국내 제약바이오 단체들은 2일 공동논평을 통해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의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대표발의를 환영했다.
단체들은 논평에서 “개정안은 종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위원장으로는 하는 ‘제약산업육성·지원위원회’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약바이오산업혁신위원회’로 격상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이 제조한 의약품에 대한 약가 우대를 의무화했다”며 “범정부 콘트롤 타워는 제약바이오산업 도약의 열쇠”라고 주장했다.
이어 “글로벌 제약강국은 예산부터 정책에 이르기까지 국가 컨트롤 타워를 중심으로 산업육성정책을 통합관리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산업육성 정책과 재정, 규제가 다부처로 분산돼 있고, 기초연구부터 임상시험·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관리 주체도 부재해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전부터 부처 간 칸막이와 중복사업 등 비효율을 방지하고,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 중장기 육성전략 수립과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 설치를 요구해 왔다”며 “개정안에 담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제약바이오산업혁신위원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육성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법안이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에 대한 동기 부여 등 ‘도전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해 글로벌 제약강국 도약의 기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대통령, G7 확대세션서 "아태 제1의 AI허브 구축하겠다"
- 韓 LLM 만들 'AI 국가대표' 선발 시동…하정우 입김 작용할까
- 삼성전자, 하반기 반도체 전략 수립 착수…HBM·美 투자 돌파구 '절실'
- "손이 곧 지능, 손재주 있는 로봇 개발할 것"
- 전국민 지역화폐 지급…기본소득 수혜 기업은
- 예스24, 해킹 2차 보상안 발표…"전 회원에 5천원 상품권 지급"
- 코빗 ‘12시간 서비스 먹통’ 논란…금감원 "사고 원인 파악과 재발 방지 요구"
- 첫 무대 선 허조그 AWS CISO "AI 보안 제품, 기능 통합·자동화 핵심"
- 유럽 공략 시급 中 기업, 'K배터리' 노크…‘실리 동맹’ 늘까
- 中 배터리 파워 무섭네…"삼성·애플·구글에 앞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