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옴니아바이오와 CDMO사업 파트너십 강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메디포스트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세포·유전자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관계사인 옴니아바이오와 북미와 동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1일 밝혔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옴니아바이오가 국내 CDMO 사업 진출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라며 "약 20년의 세포치료제 개발과 생산역량, 옴니아바이오의 차별화한 공정개발 및 생산노하우, 품질관리시스템 등을 결합해 신약 개발 전체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세포·유전자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관계사인 옴니아바이오와 북미와 동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1일 밝혔다.
앞서 올해 5월 메디포스트는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CDMO 사업 진출을 선언하고 약 886억원을 들여 캐나다 옴니아바이오 지분을 인수한 바 있다. 지난 10월부터 신규 증설한 국내 GMP 내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전용 최신의 클린룸과 생산시설 등을 구축하고 수주 활동을 시작했다.
이번 협력을 위해 미첼 시빌로티 옴니아바이오 대표와 옴니아바이오의 모회사인 CCRM의 마이클 메이 대표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 11월 30일부터 메디포스트의 GMP(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공장 내 CDMO 시설과 카티스템 생산 현장을 찾아 국내 CDMO 고객 미팅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옴니아바이오는 적극적으로 공정개발(PD) 역량과 품질 관리 시스템 등의 노하우를 공유하기로 했다.
시빌로티 대표는 “이번 방문으로 메디포스트의 CDMO 시설과 인력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라며 “메디포스트 CDMO 시설과 카티스템의 전주기 개발 노하우가 옴니아바이오의 아시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옴니아바이오가 국내 CDMO 사업 진출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라며 “약 20년의 세포치료제 개발과 생산역량, 옴니아바이오의 차별화한 공정개발 및 생산노하우, 품질관리시스템 등을 결합해 신약 개발 전체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이스라엘, 2.8조원 트램 中과 계약 중단… 현대로템에 기회
- “中 위협 막자”…韓 이차전지 선구자, 출연연서 새 도전
- [단독] 장그래가 출근하던 그 건물 팔린다… ‘兆 단위 대어’ 서울스퀘어 매물로
- [공실폭탄]③ LH·시행사는 주택용지보다 비싼 상가용지 팔아 개발 이익, 공실로 “탈출하고 싶다
- SK이노 유증 참여 임원들, 33% 평가손실에 우울
- “보잉 살게요”… ‘관세 협상’ 앞두고 트럼프 심기 살피는 각국 정상들
- 엔화로 몰리는 글로벌 자금… 엔캐리 청산 공포 재현 가능성은
- 이랜드리테일, 뉴코아 인천논현점 6월 폐점 검토... “아웃렛도 양극화”
- 정치테마주 위로 ‘CB 폭탄’ 투하된다... ‘14배’ 상지건설은 230만주 한꺼번에 상장
- 홍콩 이어 스위스… 이복현 금감원장, 임기 막판 외유성 출장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