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출산율 0.95명, 극복방안은…"자녀양육 긍정 분위기 확산부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1년 제주지역 출산율은 0.951명이다.
정부와 제주도의 출산장려 정책에도 제주지역 합계출산율은 지속 감소하면서 인구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이 되지 않도록 제주지역 영세 또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부모들의 양육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돌봄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정·지역사회 공동육아 중요성 확인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2021년 제주지역 출산율은 0.951명이다. 지속적으로 떨어진 출산율은 1명대 벽마저도 무너지면서 저출산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정부와 제주도의 출산장려 정책에도 제주지역 합계출산율은 지속 감소하면서 인구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출산율 하락의 이유로는 '비혼'을 택하는 2030세대 증가와 늦어진 결혼 적령기 등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엄마'들의 경력단절에 대한 우려, '양육'에 대한 부담 등으로 결혼은 했지만 출산을 꺼리는 부부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보건복지협회 제주지회(회장 고신관)는 지난달 30일 지회 회의실에서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찾고,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한 '함께 키움'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강세환 인구보건복지협회 제주지회 본부장의 주재로, 강문실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 센터장 등 전문가와 도내 돌봄공동체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자녀 양육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가정내 또는 지역사회내 공동육아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참석자들은 가정내 공동육아를 통해 '일·가정 양립'이 가능하게 됐다며 가정내 공동육아는 어느 한쪽이 돕는 것이 아니라 '함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역사회에서의 '양육'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고 했다. 양육이 한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책임을 나눠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도내 80개에 달하는 돌봄공동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돌봄공동체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이 되지 않도록 제주지역 영세 또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부모들의 양육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돌봄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밖에도 자녀 양육에 대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운영, 공동육아 필요성에 대한 교육 활성화, MZ세대 특성을 고려한 출산 정책 개발 등도 제안됐다.
강세환 본부장은 "자녀를 키우면서 긍정적인 측면이 크다는 것을 지역사회에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며 "내년에 육아 수기 공모전 등을 통해 이 같은 분위기를 확산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sn@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유재석 "송지효, 의상 농담하면 촬영 후에 '별로냐' 전화 와"
- "역대급이야"…서동주, 인피티니풀서 완벽 비키니 자태 [N샷]
- 생애 첫 복권 사자마자 '448억' 잭팟 터뜨린 18세 약국 알바생
- 인공눈물 넣었다가 1명 사망·5명 실명…美 사용중단 제품은?
- "가족 위해 투잡"…첫 출근 2분 만에 편의점 턴 40대男 알바
- 이나연, 초호화 두바이 여행…"한끼 90만원"
- "반짝반짝 빛나는 커플" 손헌수, 청순+단아 미모의 7세 연하 여친 공개 [N샷]
- "집에 남자?" 이수민♥원혁, 밀회 발각 고백
- 88명만 받은 'GD 운동화' 4000만원 중고거래
- 61세 황신혜, 멕시코서 춤바람…'반전 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