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과점 경영상황 악화…점포 2700곳↑ 매출은 업소당 1700만원↓

진현권 기자 2022. 12. 1. 1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간 경기도 제과점이 2700여곳 늘었지만 점포 당 매출액은 1700여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이슈 브리프 '경기도 제과업종 현황 및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러한 경쟁 가열에 따라 경기도 제과업은 단기(1년) 생존율은 낮은 편이나 3년·5년 생존율은 타업종에 비해 높아 일단 기반을 다지면 영업 영속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대비 ‘식재료 및 인건비 비율’ 계속 늘어 순이익 줄어
(수원=뉴스1) 진현권 기자 = 최근 5년간 경기도 제과점이 2700여곳 늘었지만 점포 당 매출액은 1700여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제공)

최근 5년간 경기도 제과점이 2700여곳 늘었지만 점포 당 매출액은 1700여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이슈 브리프 ‘경기도 제과업종 현황 및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간편한 식사 선호로 밥 대신 빵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에 경상원은 식습관 변화에 따른 경기도 제과업종 현황과 전망을 짚어봤다.

2010년대 초반 식료품 소비지출을 보면 근소하지만 ‘곡물(밥)’에 대한 비중이 ‘빵 및 떡류(빵)’보다 높았다. 그러나 2015년을 기점으로 역전돼 한국인은 밥보다 빵을 더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수요증가에 힘입어 2022년 경기도 제과점은 6498곳으로 2017년 3750곳 대비 73.3%(2748곳) 증가했다. 지난 5년간 점포수 증가율은 31개 시군 중 하남시가 117%로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고, 시흥시(116%), 광주·화성시(각 74%)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점포당 매출액은 2017년 1분기 5009만원에서 2022년 1분기 3271만원으로 오히려 35% 감소하며 경영사정이 악화하는 모양새다.

이와 함께 경기도 빵집 100개 중 73개는 비프랜차이즈로 조사됐는데 색다른 빵을 맛볼 수 있고, 독특한 인테리어로 젊은층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어 비프랜차이즈 점포 비중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전국 평균 제과점 1개 점포당 근로자는 3.5명, 1일 평균 근로시간은 12.2시간으로 제과점이 속한 ‘일반음식점 외 업종’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과제빵은 제조·판매에 동시 필요 인력이 많고, 빵을 굽는데 필요한 시간이 있어 영업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파악됐다.

제과점 점포주들의 애로사항은 식재료비 상승(86.5%), 경쟁 심화(80.2%), 인건비 상승(71.2%), 제도적 규제(71.0%), 임차료 상승(69.8%)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대비 식재료 및 인건비 비율도 2017년 49.1%에서 2021년 68.6%로 가파르게 올라 순이익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빵 원료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밀가루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2022년 5월 소맥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식재료비 상승에 따른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제과업은 2021년 기준, 개업점포 1426곳, 폐업점포 949개로 매년 400개 이상의 가게가 새로 생기고 있어 점포간 경쟁은 심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경쟁 가열에 따라 경기도 제과업은 단기(1년) 생존율은 낮은 편이나 3년·5년 생존율은 타업종에 비해 높아 일단 기반을 다지면 영업 영속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박재양 경상원장 직무대행은 “제과점은 가격 경쟁력 외에 특색있는 빵맛 개발을 통한 차별화 로 작은 가게도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업종”이라며 “경상원은 소상공인도 자신의 역량을 키워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돕겠다”고 말했다.

jhk102010@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