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건축 정보 담은 최고 걸작"…북궐도형, 이달의 왕실 유물

조재현 기자 2022. 12. 1. 09: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후기 경복궁을 평면으로 그린 도면 형태의 그림 '북궐도형'(北闕圖形)을 12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하고, 1일부터 상설 전시장 '조선의 궁궐' 전시실에서 공개한다.

조선 제26대 왕인 고종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돼 빈터로 남은 경복궁을 270여년 만에 다시 지어 조선왕조의 새로운 부흥을 이루고자 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경복궁의 모든 정보를 단 하나의 평면에 담은 조선시대 건축도형 중 최고의 걸작"이라고 소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 후기 경복궁 도면 형식으로 그려
'북궐도형' 인쇄물.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후기 경복궁을 평면으로 그린 도면 형태의 그림 '북궐도형'(北闕圖形)을 12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하고, 1일부터 상설 전시장 '조선의 궁궐' 전시실에서 공개한다.

조선 제26대 왕인 고종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돼 빈터로 남은 경복궁을 270여년 만에 다시 지어 조선왕조의 새로운 부흥을 이루고자 했다.

10~11㎜ 간격의 모눈종이 위에 검은 먹줄로 단선화한 1/200 축척의 도형을 표현했다. 평면에는 방(房)을 비롯한 청(廳·마루), 퇴(退·툇마루), 누(樓·다락) 등 공간의 성격을 함께 적었다.

또 건물의 명칭과 양식, 건물의 크기, 기둥의 수, 높이 등을 기재해 대략적인 입면(정면·측면 등에서 수평으로 본 모양)을 짐작할 수 있다. 글씨를 기재한 방향으로 건물 또는 문 방향도 알 수 있다.

'북궐도형'.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박물관 관계자는 "경복궁의 모든 정보를 단 하나의 평면에 담은 조선시대 건축도형 중 최고의 걸작"이라고 소개했다.

전시실에서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조감도 형식으로 그린 '동궐도',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 위치와 그곳에서 일어난 중요한 사건 등을 기록한 책인 '궁궐지' 등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