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수입액 62%↑…내년에도 인기 계속될 듯

노기섭 기자 2022. 12. 1.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위스키가 인기를 끌면서 올해 들어 10월까지 위스키 수입 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관세청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 금액은 2억180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3475만 달러와 비교해 61.8%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한 고객이 위스키 진열대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030 소비층·하이볼 문화 확산에 수입량도 75.5% 증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위스키가 인기를 끌면서 올해 들어 10월까지 위스키 수입 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관세청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 금액은 2억180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3475만 달러와 비교해 61.8% 늘었다. 위스키 수입 금액은 2007년 2억7029만 달러까지 올랐고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2020년에는 1억3246만 달러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1억7534만 달러로 32.4% 늘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수입량은 2만1251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2107t과 비교해 75.5%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 유행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로 인해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과 ‘혼술’(혼자 마시는 술) 문화가 자리 잡으며 20·30대를 중심으로 위스키를 즐기는 소비층이 늘어났고 이로 인해 시장이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위스키에 소다수 등을 타서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면서 시장이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일부 위스키 제품의 경우 품귀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위스키 인기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디아지오코리아 관계자는 “조니워커 그린라벨이 품절되는 사례가 있다”며 “마니아층에서 인기가 있고 생산량이 적어 한국에 들어온 물량 자체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국주류수입협회 관계자도 “코로나19 유행 이후 위스키의 대중화 속도가 더 빨라졌다”며 “내년에도 시장 전망은 좋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기섭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