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사 공동 책임 강화’ 중대재해법 개선, 법제화 서둘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어제 중대재해를 기업 자율로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했다.
산업안전정책 기조를 사후적 처벌·규제 중심에서 노사가 함께 책임지는 자기규율 예방 체계로 전환해 현재 0.43인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산재사고 사망자수)을 2026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0.29까지 낮춘다는 게 골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시행 전부터 산재 예방 효과보다는 산업 현장의 혼란만 가중할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기업인들에 대한 과잉 처벌로 경영 활동을 제약·위축시킬 것이라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 처벌 근거가 되는 규정이 추상적이고 모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행 후 기업 10곳 중 7곳이 경영에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중대재해도 줄지 않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9월 말까지 산업 현장 산재 사고 사망 노동자는 510명으로 작년 501명에 비해 오히려 증가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새 로드맵은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무엇보다 노사의 자발적 노력을 제시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정부는 위험성 평가를 핵심 수단으로, 기업이 중대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노사가 함께 사업장 내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해 개선책을 만들고 이행하는 위험성 평가 제도를 안착시켜 사고 발생 시 예방 노력의 적정성을 엄정히 따져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는 것이다.
위험성 평가 결과를 근로자가 공유하는지 인터뷰를 통해 확인키로 한 것도 진일보한 조치다. 처벌 요건을 명확히 해 상습적이고 반복되는 사망사고에 대해서는 형사처벌을 확대키로 한 것 역시 합리적인 조치다.
관건은 노동계와 더불어민주당 설득이다. 이들은 “중대재해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반발할 태세다. 하지만 반대만 할 일이 아니다. 영국은 1960년대에 감독과 처벌을 강화했는데도 산재사고가 감소하지 않자 사업장의 자율예방정책으로 전환했고, 독일은 노사가 재해예방규칙을 제정해 시행하면서 사고를 크게 줄였다. 정부는 산업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면서 중대재해처벌법 개선안의 법제화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