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한국식 이름 금지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드라마 가운데 북한 주민들이 가장 많이 본 드라마는 '가을동화'라고 한다.
지난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북한이 주민들에게 한국식 이름 금지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그러다가 2000년대 들어 한류를 자주 접한 주민들 사이에서 자녀들에게 '아리·소라·수미·가희' 등 여성스럽고 부르기 쉬운 한국식 이름을 지어주는 풍조가 확산되자 통제에 나선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전원회의에서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이 채택됐다. 이 법은 외부 영상이나 책자 등의 반입·소지·배포는 물론이고, 남한풍 행동이나 말투까지도 단속하는 내용을 담았다. 법을 어긴 이들은 기존 북한 형법에 언급된 형량에 비해 1, 2단계 더 높여 처벌이 가능하도록 했다. 심지어 정치범수용소 수감은 물론이고 사형까지 구형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북한이 2030 여성을 상대로 꽉 끼는 청바지와 염색 등을 금하는 단속을 벌이고 있다는 보도도 얼마 전 나왔다. 미국 폭스뉴스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북한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은 해외 복장과 헤어 스타일을 따라 하는 것을 반사회주의적 관행이자 자본주의적 행위로 규정했다. 이 역시 “단속을 위반하면 가혹한 처벌이 뒤따른다”고 매체는 전했다.
지난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북한이 주민들에게 한국식 이름 금지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김일성·김정일 시대에 북한에서는 충성과 일심 단결, 효 등의 의미를 담은 ‘일심·충심·효성·충성’ 같은 이름이 성행했다. 소련 붕괴 이후 체제 위기에 직면하자 총폭탄, 결사옹위에서 따온 ‘총일·폭일·탄일’ 등 이름을 장려했다. 그러다가 2000년대 들어 한류를 자주 접한 주민들 사이에서 자녀들에게 ‘아리·소라·수미·가희’ 등 여성스럽고 부르기 쉬운 한국식 이름을 지어주는 풍조가 확산되자 통제에 나선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근 신형 화성-17형 미사일 발사 현장과 기념식에 열 살짜리 둘째 딸을 대동했다. 딸 이름은 김주애로 알려졌다. ‘존귀하신 자제분’은 한국식 이름 단속에서도 예외인 모양이다.
박병진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 이효리한테 꿀리지 않는다’ 금수저 이상순의 어마어마한 재력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자수성가한 줄 알았는데…백지영, 엄청난 재력가 집안 딸이었다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도박·외도’ 김학래 만행에도 “이혼 안 해” 선언한 임미숙, 대체 왜?
- 이혼 7년차 돌싱 안재현, 전처 향한 의미심장 발언…구혜선은 새 출발 알려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