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프리즘] IaaS 클라우드 정책이 갈 길
대규모 투자 동반한 산업화 돌입
정부 데이터센터도 전환 시장 커져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책 마련을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데이터 댐’ 구축과 함께 국내 ‘서비스로서의 인프라’(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산업화가 태동기를 맞았다. 이전에도 통신사업자 및 중소 IaaS 사업자가 일부 있었지만 네이버, NHN, 카카오 등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들이 진입하면서 비로소 대규모 투자를 동반한 산업화가 시작되고 있다. 또 정부의 데이터 센터를 대대적으로 IaaS로 전환하겠다는 발표와 함께 국내 IaaS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클라우드 보안 인증 등급제’(CSAP)로 인해 시끌벅적한 영역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IaaS의 사업적 특징을 알면 지원 정책에 당근 또는 채찍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투자 후 서비스 입점을 높여 가동률만 높으면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는 부동산 사업과 같다. 둘째, IaaS 클라우드 산업은 사업자별 호환성이 낮아 사용자의 전환 비용이 높다. 공공과 같이 규모를 가졌으며 한 번 설치 후 이전하지 않는 고객들은 IaaS 사업자의 수익 기여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대체로 수익 기여도가 높은 고객의 경우 지속적으로 비용 절감을 요구할 뿐 아니라 새로운 기술 투자를 요구하는 등 IaaS의 가격 및 기술 경쟁력 향상의 자극제가 된다.
이러한 IaaS 산업의 역할 및 사업적 특징을 활용해 과거의 정책을 한 단계 넘어선 IaaS 산업정책이 나와야 할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전환 규모 측면에서 볼 때, 국내 IaaS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에 정부는 국내 SaaS 경쟁력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발목을 잡기보다는 길을 열어줄 수 있게끔 선제적 기술 확보와 글로벌화 투자가 선행되도록 또 국내 SaaS 기업들이 IaaS 활용에서 비용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IaaS 사업 특징을 잘 활용한 당근과 채찍이라는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 ‘변화 너머’ 저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