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하수 정화해 반도체 세척용 ‘초순수’로 재활용
경기 남부 하수처리장 방류수 정화
삼성 “수자원 보전 위해 함께 노력”
삼성전자가 경기 남부 지역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정화해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공업용수로 사용키로 했다. 삼성전자는 30일 환경부, 경기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등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경기 수원·용인·화성·오산시 등 경기 남부 지역 공공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고도로 정화해 인근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기흥·화성·평택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초순수’ 등으로 활용키로 했다. 초순수란 물속의 무기질·미립자·박테리아·미생물 등을 제거한 정제수로, 반도체 공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 위에 남아있는 부스러기나 먼지, 이온 성분을 씻어낼 때 사용한다.
현재 삼성전자 기흥·화성·평택 사업장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하루 30만t 수준으로 모두 한강 팔당댐에서 끌어다 쓴다. 2030년이 되면 반도체 라인 증설로 이들 공장에서 필요한 공업용수는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나지만, 삼성전자가 팔당댐에서 끌어 쓸 수 있는 용수량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삼성전자가 주목한 것이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재활용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는 “삼성전자가 추가로 공급받을 수 있는 용수의 양은 하루 약 47만t, 연간 1억7300만t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겸 대표이사 사장은 “초순수라는 깨끗한 물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산업에서 하수 재이용수를 사용한다는 것은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말했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글썽인 권성동 “인간이 해선 안 될 일이지만···‘비상계엄 특검법’ 당론 발의키로”
- 이준석, 윤석열 동기 죽음 언급하며 “본인도 강압수사 했지 않나”
- 고교 졸업식서 음주 추태…홍성표 아산시의회 의장 자진사퇴
- 조용한 한동훈, ‘1말2초’ 복귀?···윤석열 구속이 기점될 듯
- 김경진 전 의원 “윤 대통령 묵비권, 구속영장 발부에 유리하지 않아”
- 김용원, 동료 인권위원에게 “좌파 조직원이거나 하수인” 폭언···‘계엄 비호’도
- [뉴스토랑]고효율 끝판왕 ‘로테이션 소개팅’…10분씩 16명 만남
- “잘못 베낀 포고령” 윤석열 주장에···김용현 측 “착오 없는 정당한 포고령”
- [속보] 국회 측 “윤석열 매우 위험···복귀하면 어떤 일할지 예측 안돼”
- ‘윤석열 지연전략’에 복잡해진 수사 스케쥴···공수처는 ‘구속영장’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