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술, 이게 최신] '난치병' 통풍…나란히 3상 'JW·LG' 치료제 비교해보니

이광호 기자 2022. 11. 30. 18:1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병, 통풍 환자 수는 지난해 5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문제는 기존의 통풍 치료제들이 다 조금씩 결함이 있다는 건데요. 최근 제약회사들이 새로운 통풍 치료제 개발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국내 대형 제약사도 경쟁자로 나섰습니다. 통풍 치료의 현 상황 취재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이광호 기자, 일단 통풍 치료가 왜 어렵나요? 
통풍의 원인은 주로 핏속의 '요산'이라는 물질입니다. 

요산 수치를 떨어뜨리는 약이 있긴 한데, 약을 끊으면 수치가 다시 올라온다는 게 문제입니다. 

고혈압처럼 약을 평생 먹어야 해서 약 복용을 소홀히 했다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작용 우려도 있습니다. 

주로 쓰이는 성분 중 '페북소스타트'는 일부 국가에서 심혈관 질환 우려가 제기됐고요.

'알로푸리놀' 성분은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지만 효과가 아주 뛰어나지 않은 데다 피부 알레르기 반응이 있습니다.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시죠.

[김민정 / 서울시 보라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알로푸리놀은 서양 사람에 비해서 한국 사람이나 중국 사람에게 잘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중증의 피부 부작용이 있습니다. 단순한 알레르기 이상으로 피부가 다 벗겨지고 구강도 벗겨지고…]

심혈관 부작용이 보고된 페북소스타트는 국가마다 실험 결과가 달라서 부작용이 완전히 입증되진 않았습니다. 

그래도 부작용들이 있다면 새로운 약이 필요하겠네요. 
그렇습니다. 

국내외에서 최소 20가지 이상의 신약이 개발 중인데, 이 중엔 LG화학과 JW중외제약이 앞선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모두 이번 달 들어 막바지 임상실험인 3상에 진입했는데요.
JW중외제약은 이미 만들어진 요산을 몸 밖으로 빨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LG화학은 요산의 생성을 막는 방식입니다. 

중외제약은 중국의 항서 제약이 비슷한 방식의 약물(SHR4640)로 3상을 이미 진행하고 있어 가장 큰 경쟁자고요.

LG화학은 일본 테이진사의 신약(TMX-049)이 비슷한 방식으로 역시 2상을 마쳐 가장 빠른 경쟁자입니다. 

두 약의 효과는 어떻습니까?
두 약의 임상 2상 결과를 비교해 봤는데요.

다만 완전히 별개의 임상이기 때문에 이 수치 비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습니다. 

보통 혈청 내 요산 수치가 100㎖ 당 6㎎ 이하로 떨어지면 치료가 성공했다고 보는데요.

LG화학은 투약 후 12주가 지난 시점에서 피험자의 78%가 이 수치를 달성했고, JW중외제약은 투약 4주 후 89%의 피험자가 이 수치를 달성했습니다. 

거칠게 비교하면 JW중외제약의 수치가 일단은 더 높았습니다. 

다만, 두 임상은 모두 기존 치료제인 페북소스타트와 비교하는 실험도 진행했는데요. 

LG화학의 임상에서는 페북소스타트의 달성률이 54%로 개발 중인 신약의 달성률 78%가 크게 월등했지만, JW중외제약은 84%로 개발 중인 신약(89%)이 큰 격차를 내진 못했습니다. 

이 약들은 지금대로 임상이 진행된다면 2026년을 전후로 출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광호 기자, 잘 들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