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방의 시위 허용 촉구에 "자국민 목소리나 관심 가져야"

한종구 2022. 11. 30. 18: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고강도 방역 정책에 반대하는 '백지 시위' 참가자를 탄압해선 안 된다는 국제사회의 주장에 "다른 나라에 이래라저래라하지 말고 자국민의 목소리에 관심을 두기 바란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백지 시위에 대해 외국 정부와 해외 중국인들이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는 지적에 "당신이 말한 일부 국가는 국내 문제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 = 중국이 고강도 방역 정책에 반대하는 '백지 시위' 참가자를 탄압해선 안 된다는 국제사회의 주장에 "다른 나라에 이래라저래라하지 말고 자국민의 목소리에 관심을 두기 바란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백지 시위에 대해 외국 정부와 해외 중국인들이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는 지적에 "당신이 말한 일부 국가는 국내 문제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중국의 감염병 정책은 인민의 생명 안전과 신체 건강을 최대한 보호하고, 감염병이 경제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줄였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주장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백지 시위와 관련해 "중국 국민의 표현과 저항이 허용돼야 한다"고 말했고,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우리는 어디에서든 평화롭게 시위할 시민들의 권리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도 인터뷰에서 중국 당국에 사상, 집회의 자유를 존중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백지 시위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의 질문과 대변인의 답변을 쏙 빼고 브리핑 질의응답록을 게시했다.

자오 대변인이 시위와 관련해 "어떤 권리나 자유든 법률의 틀 안에서 행사해야 한다"고 밝히고도 관련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것이다.

중국 외교부는 평소에도 정례브리핑 질의응답록을 게시하면서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질문과 답변을 삭제했다.

중국 관영매체들도 이번 시위에 대해 일절 보도하지 않고 있다.

jkh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