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수요 확산…美 로봇 테마 ETF 주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기업의 자동화 로봇 주문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종목코드 BOTZ)는 로봇 활용과 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 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이다.
그럼에도 기업 자동화 수요의 구조적 성장세에 투자할 테마형 ETF로서 적절하다는 평가가 많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용절감 위해 자동화 수요 커
편입종목 비중 따라 수익 결정
미국 기업의 자동화 로봇 주문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까지 세 분기 연속 역사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과거 자동차업종에 집중된 로봇 채택률이 다른 업종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이런 현상이 생겨난 이유는 코로나19에 따른 근무 환경 변화, 미국의 녹록지 않은 고용시장 환경, 가파른 물가 상승 등으로 기업의 비용 절감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비용 절감과 고용 효율화 수단으로 자동화 수요가 지속된다고 볼 때 이를 테마로 담을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종목코드 BOTZ)는 로봇 활용과 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 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이다. 산업 로봇, 자동화, 비산업 로봇, 자율주행 등의 사업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50여 개 기업으로 이뤄진 지수를 추종한다.
투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수술용 로봇 제조로 잘 알려진 인투이티브서지컬(11%)이며 키엔스(10%), ABB(9.5%), 엔비디아(8%), 화눅(8%)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산업용 로봇을 만드는 기업의 비중이 상위에 분포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위 10개 종목의 편입 비중이 대략 68%로 상위 포함 기업의 주가 변동성에 따라 ETF 수익률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국가별 비중은 미국 44%, 일본 35%, 스위스 12%로 구성돼 있다.
업종 측면에서는 IT와 산업재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의 분포가 ETF 구성의 80%를 이루고 있어 경기민감업종의 주가 부침에 따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기업 자동화 수요의 구조적 성장세에 투자할 테마형 ETF로서 적절하다는 평가가 많다.
미국 시장에 다양한 로봇 관련 ETF가 상장돼 있는데 테마형 ETF 특성상 운용사마다 담고 있는 종목과 콘셉트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름이 비슷한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ROBO)는 편입 종목을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해 중소형주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아크인베스트가 운용하는 ARK Autonomous Technology & Robotics ETF(ARKQ)는 액티브 펀드로서 종목 운용이 자유롭고 테슬라의 비중이 9%에 달한다.
임은혜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격 앞에 장사 없다…"테슬라 美 전기차 점유율 떨어질 것"
- '구조조정'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는 내년 고용 재개
- OPEC+ 회의 앞두고 유가 상승…증산보다 감산에 무게 [오늘의 유가 동향]
- 내년 브라질 생산량 감소 우려에…커피 가격 4% 급등 [원자재 동향]
-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파월은 무슨 말을 할까…잔뜩 긴장한 월가
- 이승기 소속사 대표 입장 내놨다…"개인재산 처분해 책임"
- [종합] "나중엔 뭐 할래?"…속옷 벗고 피아노 치는 이해인에 박미선의 '따끔' 조언 ('진격의 언니
- 루머에 갈비뼈도 부러졌는데…선우은숙, 재혼 남편 유영재 루머에 또 울었다 [TEN피플]
- [종합] 오병진, 그룹 오션의 멤버→1000억 CEO…"하루 매출 8000만원"('근황올림픽')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