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에 늘어난 등산·캠핑족…관련 용품 수입액도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여파로 밀집도가 높은 도심을 벗어나 한적한 교외에서 여가를 즐기는 등산·캠핑족이 크게 늘어 관련 용품 수입액도 크게 증가했다.
30일 관세청에 따르면 10월 누적 관련용품 수입액이 3억400만 달러로 동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등산용품은 43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4.5%나 늘었다.
등산화 수입은 10여 년 전 아웃도어 열풍 이후 다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스틱은 1~10월 수입이 지난해 연간 수입액을 넘어 역대 최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밀집도가 높은 도심을 벗어나 한적한 교외에서 여가를 즐기는 등산·캠핑족이 크게 늘어 관련 용품 수입액도 크게 증가했다.
30일 관세청에 따르면 10월 누적 관련용품 수입액이 3억400만 달러로 동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2.5% 증가한 수치다. 특히 등산용품은 43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4.5%나 늘었다. 캠핑용품은 2억62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9% 줄었다. 2019년 1~10월 대비 등산·캠핑 수입액은 2.4배 증가했다. 등산은 1.7배, 캠핑은 2.6배 늘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수입 실적(3억5500만 달러)을 기록한 데 이어서 올해 다시 한번 연간 최대 수입 경신이 예상된다. 등산화 수입은 10여 년 전 아웃도어 열풍 이후 다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스틱은 1~10월 수입이 지난해 연간 수입액을 넘어 역대 최대다.
등산화는 베트남, 중국, 등산 스틱은 중국, 대만 등에서 주로 수입되고 있다. 캠핑용품은 텐트(1억5300만달러), 캠핑트레일러(5660만달러), 그늘막(3760만달러), 에어매트(1460만달러) 순으로 수입이 많았다. 캠핑용품은 대부분 중국·베트남 등 아시아에서 수입되는 반면 캠핑트레일러는 독일·영국 등 유럽과 미국에서 주로 수입되고 있다.강민성기자 kms@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돌싱 男 3명 중 1명 "피부 스치면 나 좋아하나?" 착각
- [월드컵] 트러블메이커 `테일러의 테러`
- "남편 주면 좋아할거야"…女 유권자에 비아그라 건넨 前 순천시의원
- "중국 공안, BBC기자 수갑 채우고 구타"…코로나 시위 취재중
- 단호한 尹 "새벽 5시 신문보는데 무슨 술 마시나…한동훈, 2차 절대 안가"
- "왜 합의 안해줘"…폭행 피해자 살해한 50대女, 징역 20년
- 도연스님 `출가 후 둘째 아이` 의혹에 시끌…조계종 "조사 중"
- "박수홍, 여자에 미쳤다"…세무사, 법정서 `친형 문자` 공개
- `청주도심 통과`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추진 속도낸다
- "文 종전선언 집착에 가슴졸여, 2021년까지 美의회 설득" 나경원 투쟁史 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