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세버스 신규 등록·증차 제한 2년 연장…아직 공급과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버스 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적용되고 있는 신규 등록 및 차량 증차 제한이 2024년까지 연장된다.
국토교통부는 전세버스 운송사업의 신규 등록 및 증차를 제한하는 '전세버스 수급조절' 기간을 2024년 11월까지 2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전세버스의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국토부는 신규 등록 및 증차가 포함된 사업계획 변경등록을 제한해 자연감소를 유도하는 방식을 써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세버스 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적용되고 있는 신규 등록 및 차량 증차 제한이 2024년까지 연장된다.
국토교통부는 전세버스 운송사업의 신규 등록 및 증차를 제한하는 '전세버스 수급조절' 기간을 2024년 11월까지 2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전세버스 수급조절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전세버스 수요가 줄어 아직은 공급과잉 상태라는 게 국토부 진단이다.
전세버스의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국토부는 신규 등록 및 증차가 포함된 사업계획 변경등록을 제한해 자연감소를 유도하는 방식을 써왔다. 2014년 1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4차례에 걸쳐 수급조절을 시행했다.
수급조절 시행성과분석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용역 결과, 그동안의 수급조절로 전세버스 등록대수는 8년간 6236대 감소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전세버스 수요가 단기적으로 크게 줄면서 아직 공급과잉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세버스 수급조절위원회와 전문가 자문단도 현재 전세버스 운송시장이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여전히 공급과잉이며, 당분간 수급조절 연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수급조절 장기화로 일부 지역에서는 성수기에 전세버스 부족해지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일부 문제점이 있어 소비자보호 및 여객 안전관리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수급조절 여부 등 정책방향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수상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전세버스 운송시장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공급 규모를 적정한 수준으로 운영하고, 국민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세버스의 안전 및 서비스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돌싱 男 3명 중 1명 "피부 스치면 나 좋아하나?" 착각
- [월드컵] 트러블메이커 `테일러의 테러`
- "남편 주면 좋아할거야"…女 유권자에 비아그라 건넨 前 순천시의원
- "중국 공안, BBC기자 수갑 채우고 구타"…코로나 시위 취재중
- 단호한 尹 "새벽 5시 신문보는데 무슨 술 마시나…한동훈, 2차 절대 안가"
- 尹 "北, 핵 개발 자금 계속 조달… 국제협력 더 굳건해져야"
- "석·박사 필요"vs "특혜 안돼"… `한예종 설치법` 논란
- "국회의원 특권 폐지하라" 시민 1만명 분노의 거리행진
- 친윤계, 챗GPT 공부모임 가졌지만… 안철수 불참에 맥 빠져
- 조사단 "업비트 거래내역도 받아간 듯" 김남국 "터무니 없는 주장… 법적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