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연구실적 ‘0’ 교수 수두룩, 기숙사는 직원숙소로…연 80억 혈세쓰는 전남도립대 ‘황당 운영’

강현석 기자 2022. 11. 30. 15: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 담양에 있는 전남도립대 홈페이지의 실린 대학 전경. 전남도가 설립한 이 대학은 도가 매년 80억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신입생 충원율 등이 전국 도립대 중 가장 낮다. 최근 전남도감사에서 도립대는 심각한 운영 문제 등이 지적됐다. 전남도립대 홈페이지 켭쳐.

전남 담양에 있는 전남도립대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100억원 가까운 정부지원금을 받지 못한다. 이 대학은 2021년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 진단’에서 재정지원 대학에 선정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탈락한 대학 50여 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추가평가에서도 떨어졌다.

학교 명운이 걸린 교육부 진단이었지만 대학은 전혀 대비하지 않았다. 교육부는 2019년 8월 진단계획을 통보했지만 대학은 11개월 동안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 2020년 7월 뒤늦게 자체진단위원회를 구성했지만 회의는 한 번도 개최되지 않았다.

전남도가 설립한 전남도립대의 운영 부실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수 상당수는 연구 실적이 1건도 없었고 파손된 학교시설물은 수년간 방치됐다. 연간 80억원을 전남도민의 혈세로 지원받는 이 대학은 전국 7개 도립대 중 신입생과 재학생 충원율 등 모든 지표에서 최하위다.

30일 전남도가 공개한 ‘전남도립대학 종합감사결과’를 보면 도립대 교수 41명 중 2019년부터 올해까지 4년 동안 ‘교원업적평가’에 활용되는 연구 활동이 단 1건도 없는 사람은 13명에 달했다.

이들은 업적평가에서 모두 최하위 등급을 받아야 했지만 대학은 일괄적으로 12점을 부여했다. 업적평가를 바탕으로 등급 간 연구비 지급 차등 비율도 22%까지 둬야 하지만 이마저도 2.5%만을 적용했다.

업무 태반도 다반사였다. 주 9시간의 ‘책임 시수’를 채우지 못한 교수를 징계하지 않았다. 교수 3명은 최대 4개월이나 허가 없이 다른 대학 등에서 강의했다. 개인 해외여행 기간을 ‘출장’으로 처리하기도 했다.

교수 중 정교수 비율은 85.4%로 다른 지역 도립대 평균(52.9%)보다 훨씬 높고, 50대 이상은 92.7%나 된다. 도립대 교수는 전남도 소속 ‘지방교육공무원’ 으로 신분이 보장된다.

직원들의 업무태도 역시 교수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도립대는 2019년 12월 100억원을 들여 복합학생생활관(체육관)을 신축했다. 이 체육관은 이듬해 7월 옥상 빗물이 내부로 들어왔다. 준공 이후 4차례 하자검사에서 매번 균열과 누수 등을 발견했지만 이를 방치했다.

빗물이 유입돼 고장 난 체육관 승강기는 2년이 넘도록 수리하지 않았다. 교내에 설치된 자동판매기 8대의 운영도 2021년 1월 중지됐지만 아무런 대책 없이 놔두고 있다.

지난 7일 전남도립대에서 전남도의회 의원들아 참석한 가운데 ‘혁신안 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전남도의회는 대학의 부실 운영 등을 이유로 내년 운영예산을 삭감했다. 전남도의회 제공.

학생 기숙사를 직원숙소로 사용하기도 했다. 대학은 2021년 기숙사 7개 실을 ‘학술 교류 외부인과 동문 등을 위한 게스트하우스로 사용하겠다’며 6800만원을 들여 리모델링했다.

게스트하우스는 7실 모두 현재 교직원들이 ‘1인1실’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2인1실’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4개월 사용료로 45만원을 냈지만 교직원들은 6개월에 45만원만 냈다.

1998년 전남도가 설립한 도립대는 올해 기준 운영비 45억원과 교원 인건비 35억원 등 80억원을 도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전남도립대는 전국 7개 광역단체가 설립한 도립대학 중 신입생 충원율 등이 가장 저조하다.

전남도립대의 신입생 충원율은 2020년 91.8%, 2021년에는 83%로 크게 떨어졌다. 다른 6개 도립대학의 평균 신입생 충원율은 2020년 99.9%, 2021년 97.8%였다. 재학생 충원율도 전남도립대는 2020년 77.3%, 2021년 71.4%였지만 다른 대학 평균은 각각 88.9%, 83.9%였다.

전남도립대는 내년부터 학과를 18개에서 15개로 감축하는 내용을 포함한 ‘혁신안’을 최근 발표했지만 예산을 심의하는 전남도의회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도가 제출한 내년 도립대 운영예산 45억원 가운데 15억원을 삭감했다.

신민호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장은 “지방대학이 위기인 상황에서 도립대가 지금 같은 모습을 보인다면 존립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도립대가 전남의 산업을 선도하고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혁신안이 이행되지 않는다면 단호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