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대중국 무역흑자, 부가가치 감안하면 반토막"

윤선영 기자 2022. 11. 30. 12:2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를 현재와 같은 총액기준이 아닌 부가가치나 소득 기준으로 다시 산정하면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이영재 과장과 이승학 조사역은 30일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무역수지의 귀착분석 : 부가가치와 귀속소득을 중심으로'라는 보고서를 통해 2014년과 2020년 무역수지를 여러 방식으로 비교했습니다.

현재 총액 기준 무역수지는 재화가 어떤 생산과정을 거쳤는지와 관계없이 국경을 넘는 모든 수출과 수입을 단순 집계하는 방식으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 기준은 특정 국가가 수출하는 최종재 수출액에서 타국에서 수입해 온 중간재 수입액을 제한 부가가치를 그 나라의 수출로 보는 개념으로 국제기구에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 최근 학계를 중심으로는 외국인 노동자 증가 등을 감안해 생산요소에 분배된 소득을 국적별로 따져 교역에 따른 이득을 계산하는 소득 기준 방식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한은이 이들 기준을 적용,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대중 무역수지 흑자액은 총액 기준으로는 2014년 723억 달러였지만, 부가가치 및 소득 기준으로는 절반 수준인 355억 달러와 371억 달러였습니다.

반면 대미 무역수지 규모는 부가가치 및 소득 기준 흑자액이 총액 기준과 비슷(2014년)하거나 더 큰 것(2020년)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액 기준은 2014년 158억 달러에서 2020년 92억 달러로 축소됐지만, 부가가치 기준은 같은 기간 145억 달러에서 201억 달러로, 소득 기준은 106억 달러에서 219억 달러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보고서는 "총액 기준으로만 교역의 실익을 판단하는 경우 실제 부가가치나 소득 측면에서의 실익과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유의해야 하며 이를 무역정책 수립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