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하게 핵탄두 늘리는 中…한반도 유사시 작전 개입할 수도"

송지유 기자 2022. 11. 30. 11: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빠른 속도로 핵무기를 늘리고 있으며 2035년에는 현재보다 4배 가까이 많은 15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을 종합하면 미 국방부는 이날 발표한 '중국 군사력 보고서'에서 "현재 중국의 핵 비축량이 400개를 넘어섰으며 현재 속도로 비축량을 확대할 경우 2035년까지 약 1500기의 핵탄두를 보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국방부 '중국 군사력 보고서' 발표…핵탄두 비축량 2020년 200개→현재 400개…"이 추세라면 2035년엔 1500개로 증가"
201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중국의 대륙가탄도미사일(ICBM) DF-5B가 탑재된 군용 차량이 퍼레이드에서 참여하고 있다. /ⓒAFP=뉴스1

중국이 빠른 속도로 핵무기를 늘리고 있으며 2035년에는 현재보다 4배 가까이 많은 15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을 종합하면 미 국방부는 이날 발표한 '중국 군사력 보고서'에서 "현재 중국의 핵 비축량이 400개를 넘어섰으며 현재 속도로 비축량을 확대할 경우 2035년까지 약 1500기의 핵탄두를 보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핵탄두 보유수는 지난 2020년 200개였는데 불과 2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미 국방부는 2020년 당시 10년 뒤인 2030년쯤 중국의 핵 비축량이 400개에 달할 것으로 봤으나 이 전망은 완전히 빗나갔다.

현재 중국의 핵탄두 보유 규모는 미국·러시아 등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러시아는 5977개, 미국은 5428개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중국이 지금 같은 추세로 핵 보유량을 늘릴 경우 미국 입장에선 러시아와 중국을 동시에 견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지난 몇 년간 중국의 핵무기 확장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했다"며 "이 수치들은 장기적으로 중국의 의도가 무엇일 지에 의문을 품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미국 국가안보에 가장 결정적이고 체계적인 도전을 하고 있다"며 "문제는 앞으로 더 큰 핵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지난 8월 군사훈련 도중 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AFP=뉴스1

또 중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ICBM 발사 전용 격납고를 300개 이상 추가 건설했으며, 적의 미사일 공격 감지 및 즉시 반격이 가능한 '경보즉시발사((LOW·Launch On Warning)' 태세로 전환했다.

미 국방부는 "중국은 지난해 135건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진행했는데 이는 전 세계 모든 탄도미사일 시험 횟수를 합한 것보다도 많은 수치"라며 "특히 지난해 7월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4만㎞를 날았는데 이것은 중국의 지상 공격 무기 중 가장 긴 비행 거리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7년 6월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홍콩반환 20주년을 앞두고 홍콩을 방문해 인민해방군 홍콩 주둔군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 / ⓒ AP=뉴시스

중국과 대만의 군사력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으며, 오는 2027년까지 중국군 현대화 목표가 이뤄지면 중국공산당이 더 강력한 군사 도구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중국의 2021년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2090억달러(276조원)로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다. 이는 주변국 국방비와 비교하면 일본(550억달러)의 3.8배, 한국(480억달러)의 4.4배, 대만(154억달러)의 13.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반도 유사시 중국의 개입 가능성도 있다. 미 국방부는 "중국은 북한과의 접경지역을 담당하는 북부전구사령부에 유사시 작전을 지시할 수 있다"며 "해당 작전에는 난민 유입을 통제하기 위한 국경장악,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확보, 북한을 완충지대로 유지하기 위한 군사적 개입 등이 광범위하게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해인, 속옷만 입고 연주→유튜브 대박…박미선 "선 넘었다""김민희, 63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더라"…7년 열애 목격담73세 박원숙 한밤 화장실서 사고…"넘어져 턱 4바늘 꿰맸다"공윤희, 배구선수 은퇴→왁싱숍 사장 "만족하는데, 고민은…"이경실 "아들이 사고 쳐 득남"…원치 않게 시어머니 된 사연은?
송지유 기자 cli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