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아파트 1채 값으로 강북구 아파트 3채 산다

유엄식 기자 2022. 11. 30. 08: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강남권과 강북권 아파트값 격차가 3배 가까이 커졌다.

금리인상 여파로 최근 가격이 동반 하락세지만, 지난 집값 급등기에 강남권 아파트값이 더 많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실거래가를 비교해도 강남구 아파트값이 강북구보다 3배 이상 높다.

강남구 아파트 1채 값으로 강북구 아파트 3채를 살 수 있는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구 아파트값 3.3㎡당 9000만원 넘어

서울 강남권과 강북권 아파트값 격차가 3배 가까이 커졌다. 금리인상 여파로 최근 가격이 동반 하락세지만, 지난 집값 급등기에 강남권 아파트값이 더 많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1월 서울시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5068만8000원이었다.

시내 25개 자치구 중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3.3㎡당 9023만8000원이다. 이어 서초구(3.3㎡당 8758만9000원) 용산구(3.3㎡당 6765만6000원) 송파구(3.3㎡당 6700만4000원) 성동구(3.3㎡당 5855만3000원) 마포구(3.3㎡당 5467만3000원) 광진구(3.3㎡당 5336만원) 양천구(3.3㎡당 5208만6000원) 순으로 조사됐다.

3.3㎡당 아파트값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강북구로 3.3㎡당 3198만원이다.

최근 실거래가를 비교해도 강남구 아파트값이 강북구보다 3배 이상 높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올해 11월 23억5000만원(10층)에 매매됐다. 같은 기간 강북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 전용 84㎡ 매매가격(6억9750만원)의 3배가 넘는다. 강남구 아파트 1채 값으로 강북구 아파트 3채를 살 수 있는 셈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최근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가격 조정과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강남구의 경우 생활 인프라가 워낙 뛰어난데다 수요가 풍부해 지역 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 현상은 좁혀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1월 기준 3.3㎡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강남구가 4087만3000원으로 유일하게 4000만원을 넘었다. 이어 서초구(3977만1000원) 송파구(3233만7000원) 용산구(3074만8000원) 성동구(3072만2000원) 순으로 조사됐다. 시내에서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로 3.3㎡당 1681만8000원이다.

[관련기사]☞ 이해인, 속옷만 입고 연주→유튜브 대박…박미선 "선 넘었다"73세 박원숙 한밤 화장실서 사고…"넘어져 턱 4바늘 꿰맸다"이승기 '집사부2' 하차설 왜?…"후크가 공동제작사, 괴로울 것""안구적출vs항암치료 중 선택"…'소아암' 4살 키우는 엄마 사연김구라 2.7억에 샀던 철원 땅, 15년 만에 시세 알아보니
유엄식 기자 usy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