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일언] 왕의 온천
초겨울 바람이 차다. 따뜻한 기운이 그리운 계절이다. 길을 걷다가 핫팩에 시린 손을 녹이는데 온천 마크가 눈에 들어왔다. 동네 목욕탕도 보기 어려운 때, 굴뚝에 남은 흔적이 반갑지만 새삼스럽다. 삼삼오오 온천여행 하던 때가 언제였던가.
지금 세대들이야 온천보다는 찜질방을 떠올리겠지만, 누군가의 신혼여행과 가족여행의 추억이 깃들었을 곳이다. 각광받던 온천 여행지마저 이제는 쇠락한 곳이 많다. 일본 여행 입국 제한이 완화되면서 일본 온천여행 홍보가 거세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하지만, 삼국시대부터 ‘왕의 온천’이 등장한 우리의 온천 역사는 깊다. 그 흔적이 부산 동래, 온양, 유성, 이천, 충주 등 여러 지역에 남아 있다. 그중 온양온천으로 알려진 아산은 옛 지명부터 온기(溫氣)를 품고 있다. 백제 때는 탕정(湯井), 고려에는 온수(溫水)였다가, 조선부터는 온양(溫陽)으로 불린 고장이다.
“온양온천에 헌 다리 모이듯 한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온양온천은 아픈 다리와 피부병에 좋기로 유명했다. 그래서인지 조선 태조 때 왕실 온천지로 출발해 세종 시기 왕의 안질과 피부병 치료를 위해 별궁인 ‘온양행궁’을 지었다. 이후 세조, 현종, 숙종, 영조 등 왕과 사도세자를 비롯한 왕실 가족들이 치유차 머문 ‘조선 왕실의 휴양지’였다.
당시 왕의 온천 행차인 온행(溫行), 목욕법, 온천 보양식 등의 기록과 온양행궁의 상세 배치도와 사도세자 활터인 영괴대(靈槐臺)의 기록이 전해진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온양행궁이 훼손되면서 숙박업소로 전락했다. 지금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며 친필을 내린 ‘영괴대비’ 등만이 남아 있다.
주변 개발로 온양행궁의 온전한 복원이 어렵다지만, 귀한 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이 절실하다. 사도세자 부자의 사연을 담은 활터와 ‘왕의 온천’에서 미역국을 마시며 왕실 목욕법을 따라 즐기는 상상을 해 본다. 깊은 겨울날, 왕이 치유받은 곳을 찾아 온천욕으로 추위를 이기고 온기로 시린 마음을 달래고 싶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檢, 6년 전 수사기관 사칭해 보이스피싱 하다 도주한 7명 구속 기소
- “대검찰청 마약과 검사입니다” 재외국민 여러분, 이 전화 조심하세요
- 尹 탄핵 국회 대리인단인데…구청장 출마 선언한 조국당 서상범
- 작년 300인 이상 기업 직원 평균연봉, 처음으로 7000만원 돌파
- 한국 빙속 자존심 37세 이승훈, 세계선수권 매스스타트 은메달
- 배드민턴 안세영, 숙적 야마구치 꺾고 전영오픈 결승 진출
- “내 가족이라 생각해달라” 배우 김나운, 故휘성 영결식에서 한 부탁
- 파이리츠 배지환, 빠른 발로 만든 멀티히트 ... 타율 0.481 맹타
- 인천 백령도 야산서 화재…2시간 30분 만에 진화
- ‘호랑이 굴’ KLPGA투어, 10년 만의 외국인 우승?… 유현조·박보겸 ‘삼천리 자매’ 4타차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