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노동과 저임금 버티지 못해…택배 지간선 운전자는 금방 그만둬”

김태희 기자 2022. 11. 29. 21: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업 불참 택배 화물노동자가 말하는 ‘안전운임제 확대’
끼니는 대충 차 안에서… 화물노동자 김원식씨가 운행하는 화물차 안에 고구마, 컵라면 등이 놓여 있다. 김씨는 식사를 할 시간이 없어 주로 차 안에서 도시락이나 컵라면 등을 먹으며 끼니를 해결하고 있다. 김원식씨 제공
하루 300~400km 달려도
유류비·차량 수리비 빼면
번 돈의 30%밖에 안 남아
안전운임제 적용 확대돼야
‘악순환’ 고리 끊을 수 있어

“차에 뭐가 실렸는지보다 중요한 건 화물차를 모는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거 아닌가요. 그런 의미에서 ‘과로’를 막을 수 있는 안전운임제는 확대되는 게 맞습니다.”

8년째 화물노동자로 일하고 있는 김원식씨(59)는 지난 28일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파업 현장에서 이뤄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대형 물류창고를 중심으로 화물을 실어나르는 택배 지간선 화물노동자다.

김씨는 개인 사정으로 파업에 동참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일이 끝나면 동료들이 있는 의왕 ICD로 오고 있다. 김씨는 “동료들에게 미안하다”면서 “마음만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매일 파업 현장에 온다”고 말했다.

격무에 시달리면서 약간의 휴식도 아쉽지만 굳이 현장을 찾는 이유는 그만큼 안전운임제 확대가 그에게도 절실하기 때문이다.

품목은 다르지만, 모든 화물노동자가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어려움은 ‘저임금’이다. 차량 유지비와 기름값 등 고정 지출이 많아서 버는 돈 중 실제 화물노동자 몫으로 남는 건 얼마 되지 않기 때문이다.

김씨는 하루 평균 300~400㎞를 운전하며 3~4건 정도의 콜을 소화하고 있다. 콜이 비는 시간에는 차 안에서 쪽잠을 잔다. 끼니도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고 차 안에서 컵라면이나 도시락으로 해결한다고 했다. 그는 “상하차 대기시간을 포함해 하루 23시간 이상을 차에서 보낸다”고 했다. 집에 들어가 쉬는 날은 일주일 중 단 하루에 불과하다.

이렇게 장시간 노동을 하며 그가 버는 돈은 한 달에 1200만~1500만원이다. 이 중 70%는 유류비와 차량수리비 등 고정비로 지출된다. 결국 김씨가 실제로 손에 쥐는 돈은 300만~400여만원뿐이다. 이런 이유로 택배 지간선 일을 오래 하는 이가 거의 없다고 한다. 김씨 주변만 봐도 8년차인 그가 최고참이다. 김씨는 “대다수는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을 버티지 못해 금방 일을 그만둔다”고 말했다.

김씨는 노동시간을 줄이고 싶지만,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 어쩔 수 없다고 했다. 김씨는 “현재 운임구조에서 실질적으로 버는 돈은 매출의 30% 정도에 그친다”면서 “적당한 시간만큼 일하고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선 안전운임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씨는 안전운임제가 확대돼 이런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했다. 김씨가 종사하고 있는 택배 지간선은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5개 확대 품목에 포함돼 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철강재, 자동차, 위험물, 사료·곡물, 택배 지간선 등 5개 품목 확대를 주장하며 파업 중이다.

2020년 1월1일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는 안전운임제는 화물차 운행에 필수적인 고정비와 변동비에 더해 ‘최소 수익’이 반영돼 있다. 현재 안전운임제는 3년 뒤 종료되는 ‘일몰제’로 컨테이너와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다.

김태희 기자 kth08@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