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김순호 경찰국장 '녹화사업 피해' 조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의 강제징집·녹화사업 피해 여부를 조사키로 했습니다.
진실화해위는 오늘(29일) 오후 서울 중구 남산스퀘어빌딩에서 열린 제46차 위원회에서 김 국장의 진실규명 신청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김 국장의 강제징집·녹화사업의 피해 진실 규명 신청에 따른 것으로 프락치 의혹 조사와는 별개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의 강제징집·녹화사업 피해 여부를 조사키로 했습니다.
진실화해위는 오늘(29일) 오후 서울 중구 남산스퀘어빌딩에서 열린 제46차 위원회에서 김 국장의 진실규명 신청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의결했습니다.
김 국장은 8월 29일 자신이 1980년대 군사 정권 시절 녹화사업의 피해자라며 진실화해위에 진실 규명을 신청했습니다.
녹화사업이란 '좌경 사상으로 붉게 물든 학생을 푸르게 순화하는 사업'이라는 의미로, 당시 군부독재 정권에 저항하던 운동권 학생을 강제 입영시킨 일입니다.
김 국장은 1983년 학생운동을 하다 군에 입대했습니다.
김 국장이 지난 7월 경찰국장에 임명되자 제대 뒤 프락치(정보망원)로 활동하면서 1989년 함께 노동운동을 하던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인노회) 동료를 밀고해 경찰 대공요원으로 특채됐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김 국장은 자신이 녹화사업의 피해자라면서도 이 '프락치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김 국장의 강제징집·녹화사업의 피해 진실 규명 신청에 따른 것으로 프락치 의혹 조사와는 별개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 관계자는 "실제 김 국장이 프락치 활동을 했는지는 이번에 결정된 조사 사안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프락치 의혹과 관련해서는 민주화운동 희생자 추모 단체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 연대회의(추모연대)가 8월 23일 진실 규명을 신청했습니다.
진실화해위는 추모연대의 진실규명 신청은 따로 검토해 조사를 개시할지 결정할 방침입니다.
앞서 진실화해위는 지난 23일 '대학생 강제징집 및 프락치 강요 공작 사건'을 공권력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으로 결론 내리고, 2020년 12월부터 지난 7월까지 관련 사건 진실규명을 신청한 207명 가운데 187명을 피해자로 인정했습니다.
진실화해위는 조사 과정에서 총 2천921명의 강제징집 및 녹화·선도 공작 관련자 명단도 처음 확인했습니다.
이 명단에 김 국장도 포함됐습니다.
진실화해위는 다음 달 9일까지 진실규명 신청을 추가로 받고 김 국장 관련 내용을 포함한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사진=연합뉴스)
소환욱 기자cowboy@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첫 멀티골' K리그 득점왕 통했다…가족의 '뜨거운 응원'
- 츄, '갑질 퇴출' 주장 반박 “팬에게 부끄러울 만한 일 한 적 없어”
- 헤어지자는 여친 묶고 이토록 폭행…개 분변까지 먹였다
- 머리에 안 닿았는데 세리머니로 시선 강탈…모두를 속인 호날두의 오스카상급 연기(?)
- 이강인 교체 투입 후 조규성 2골 피치(Pitch) 직캠
- “대표팀서 나가” 가나전 패배 후 국가대표 선수들 SNS 악플로 '몸살'
- 화내는 대상 명확했던 벤투, 레드카드 받고도 '매너' 지켰다
- 벤투에 레드카드 뽑은 심판에 SNS서 비판 확산
- 속상해 우는 손흥민 옆에서 '셀카'…가나 스태프 '눈살'
- 류승룡, 가나전 심판 SNS에 분노의 댓글 남겼다 삭제 “생각이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