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자폐·우울증 치료법 단서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폐나 우울증과 같은 사회성 관련 질환 치료법에 단서가 될 사회성 행동 변화에 대한 신경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사회적 고립에 의한 사회성 행동 변화가 도파민(신경전달물질) 신경회로와 연결 시냅스(두 신경세포 사이 신호 전달하는 연결지점)의 구조적·기능적 변화에 따라 조절되며,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폐나 우울증과 같은 사회성 관련 질환 치료법에 단서가 될 사회성 행동 변화에 대한 신경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사회적 고립에 의한 사회성 행동 변화가 도파민(신경전달물질) 신경회로와 연결 시냅스(두 신경세포 사이 신호 전달하는 연결지점)의 구조적·기능적 변화에 따라 조절되며,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사회적 고립은 장기적인 사회적 고립 동물 모델과 사회적 장애 동물 모델로만 연구됐던 기존의 방식으로는 뇌와 신경회로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사회적 행동 차이가 뇌에서 어떻게 담겨 있는지 시냅스 수준에서의 연구는 관련 기술의 부재로 이뤄지지 못했다.
연구진은 전기생리학, 광유전학, 화학유전학, 그리고 자체 개발한 Dual-eGRASP(시냅스 시각화 표지 기술)을 사용해 사회적 고립 때문에 유발되는 사회적 행동 변화의 작동원리를 분자-세포-시냅스-행동 단위에서 걸쳐 규명했다.
사회적 고립 때문에 활성화되는 배측 봉선핵(뇌 중앙에 위치하는 뇌의 영역) 도파민 신경세포와 측좌핵 간 기능적·구조적 연결이 수컷 생쥐에서만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고립에 의한 사회성 변화를 유발하는 인자가 뇌 신경 회로에 존재하며, 성별에 따른 사회성 변화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강봉균 교수는 "자폐나 우울증과 같은 사회성 관련 질환 치료법 모색에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평 "尹, 선한 대통령…헌재서 살아 돌아오면 달라질 것" - 대전일보
- 박지원 "尹, 무속믿고 계엄…별 13개 똥별로 떨어졌다" - 대전일보
- 승부조작해 온라인 게임머니 60억 환전…40대 집행유예 - 대전일보
- 홍준표 "明 조작질 대선 경선 때부터 알아… 나와는 관계 없어" - 대전일보
- 이재명 "빛의 혁명 계속… 광화문 더 많은 빛으로 빛나길" - 대전일보
- "한동훈 향해 물병 던지고 막말"…권성동, 가짜뉴스 대응 경고 - 대전일보
- 주유소 기름값 10주 연속 상승… "당분간 오름세 계속" - 대전일보
- 충남 서천·부여서 단독주택 화재…인명피해 없어 - 대전일보
- 헌재,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 심판 내년 연기… 尹 심판 집중 - 대전일보
- 동짓날 낀 주말 '눈폭탄'… 그친 뒤엔 한파 덮친다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