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땅출판사,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 출간

2022. 11. 29. 1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좋은땅출판사가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를 펴냈다.

부도지(符都誌)는 영해 박씨 시조인 박제상(364~419, 신라 내물왕 시대) 선생이 신라의 고대 서적을 정리해 창세(創世) 신화에서부터 환인, 환웅, 단군, 신라 초기까지 역사를 저술한 책이다.

신간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는 어려울 수도 있는 부도지를 쉽게 풀어 강의한 책이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6월부터 약 1년간 유튜브에 부도지를 강의했는데, 이를 정리해 지금의 책으로 나오게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좋은땅출판사가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를 펴냈다.

부도지(符都誌)는 영해 박씨 시조인 박제상(364~419, 신라 내물왕 시대) 선생이 신라의 고대 서적을 정리해 창세(創世) 신화에서부터 환인, 환웅, 단군, 신라 초기까지 역사를 저술한 책이다. 부도지는 대대로 영해 박씨 문중에서 보관하다가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기자 출신인 후손(後孫) 박금(朴錦, 본명 박재익, 선생의 55세손)씨가 1953년 동족상잔의 혼란 속에서 세상에 공개했다.

신간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는 어려울 수도 있는 부도지를 쉽게 풀어 강의한 책이다. 저자는 1992년 부도지를 처음 접한 이후 강의하거나 인연이 되는 사람들에게 부도지를 알려왔다. 그러나 많은 이가 어렵게 여기는 것을 보고 부도지를 쉽게 풀이하고, 동화로 구성해 출판하기도 했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6월부터 약 1년간 유튜브에 부도지를 강의했는데, 이를 정리해 지금의 책으로 나오게 됐다.

이 책은 1부 부도지 강의와 2부 부도지 원문(한글풀이, 한문)으로 구성됐다. 부도지를 모르는 사람들도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게 강의했으니 순서대로 읽어도 좋고, 2부 부도지 원문을 먼저 읽어도 좋다.

인류의 탄생과 타락, 그리고 복본(復本)을 향한 수천, 수만 년의 여정을 그리는 부도지(符都誌)는 한민족뿐만 아니라 인류를 아우르는 창세(創世)와 시원(始原)의 대서사시(大敍事詩)이자, 숨겨진 보물이다. 부도지는 당신이 누구인지, 우리가 누구인지, 인류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이 모든 의문에 명쾌한 답을 줄 것이다.

세계 모든 종교와 모든 사상이 한반도에 와서 꽃피운 원동력은 무엇일까. 그것을 가능하게 한 한국의 민족성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불교, 유교, 기독교, 자본주의, 공산주의 등 모든 종교, 사상을 꽃과 나무에 비유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심어도 잘 자라는 비옥한 땅이다. K-한류, K-Food, K-콘텐츠의 시대, 세계는 한국인이 누구인지 궁금해하고 있다. 단언컨대 ‘한국인은 누구인가’란 질문에 대한 답은 부도지를 알기 전과 후로 나뉠 것이다. 탐욕과 욕망의 시대, 부도지는 지구와 인류를 바라보는 관점의 대변화를 줄 것이며, 동시에 한국인과 인류가 앞으로 나아갈 바를 제시한다. 그렇기에 부도지는 21세기 한국인뿐만 아니라 인류의 필독서다.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예스24, 알라딘, 인터파크, 도서11번가 등에서 주문·구매할 수 있다.

좋은땅출판사 개요

도서출판 좋은땅은 1993년 설립해 20여 년간 신뢰, 신용을 최우선으로 출판문화 사업을 이뤄왔다. 이런 토대 속에 모든 임직원이 성실함과 책임감을 느끼고, 깊은 신뢰로 고객에게 다가가며, 사명감을 바탕으로 출판문화의 선두 주자로 어떠한 원고라도 세상에 빛을 보게 해 독자가 더 많은 도서를 접하고, 마음의 풍요와 삶의 질을 높이도록 출판 사업의 혁신을 이뤄나갈 것이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좋은땅출판사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 뉴스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