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레미콘 수급 곧 중단 위기…광양항 반출도 사실상 '0'

차지욱 2022. 11. 29. 13: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이 엿새째 이어지면서 광주전남 곳곳에서도 물류차질과 이로인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전남지역 수출입 관문인 광양항도 화물연대의 이송 거부 투쟁에 따라 사실상 물류 이송이 중단된 상태다.

화물연대 전남지역본부와 광주지역본부는 이날 오전과 오후 광양항과 기아 오토랜드 광주 앞에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삭발 투쟁에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물연대 파업 물류 손실, 광주·전남 사업장 곳곳 현실화
'완성차 운송 인력 투입' 기아 오토랜드 광주 (광주=연합뉴스) 조남수 기자 = 화물연대 총파업 엿새째인 29일 오전 광주 서구 기아 오토랜드 광주2공장에서 완성차를 운송하려는 인력이 이동하고 있다. 완성차를 옮기는 카캐리어 운송이 화물연대 파업으로 멈춰서면서 기아 측은 대체인력을 고용해 개별 운송하고 있다. 2022.11.29 iso64@yna.co.kr

(광주=연합뉴스) 차지욱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이 엿새째 이어지면서 광주전남 곳곳에서도 물류차질과 이로인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특히 광주 지역 공사 현장의 경우 레미콘 수급이 이틀 내로 아예 중단될 위기에 처해 건설 현장에 긴장감마저 감돌고 있다.

29일 광주전남레미콘공업협동조합 등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 시멘트 가공업체 39곳 대부분이 원재료 시멘트가 동이 났으며, 일부는 이미 공장 문을 닫았다.

조합 관계자는 "레미콘 수급이 어려운데다 공사 현장 비축 자재도 떨어져 가고 있다"며 "다음 주까지 파업이 이어지면 광주 지역 모든 공사 현장이 완전히 멈출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기아 오토랜드 공장도 생산한 완성차를 매일 하루 2천여 대씩 임시번호판을 달거나 임시운행허가증을 발급받아 인근 적치장으로 한대 한대씩 옮기는 '개별 탁송'을 하고 있다.

전남지역 수출입 관문인 광양항도 화물연대의 이송 거부 투쟁에 따라 사실상 물류 이송이 중단된 상태다.

현재 광양항의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61.7%로, 파업 전 물량을 빼놓은 덕에 평상시(60∼65%) 장치율을 유지하고 있다.

광양항에서는 하루 4천34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가 반출됐지만, 파업 이후 출하가 시급한 일부 물량이 나간 것을 제외하고 일간 반출량은 '0'에 가깝다.

수소차 전기 충전소와 주유소의 경우 파업 전 물류 수송 협상에 성공해 현재까지 파업 영향을 크게 받고 있지 않다.

여수화학단지에서 수소 공급 큐브 트레일러를 공급받아 운영되는 광주 수소차 전기 충전소도 수소 공급차와 협의에 성공해 필요한 만큼 배차를 받고 있다.

광주 일부 지역과 전남·전북에 물량을 공급하는 GS칼텍스 여수공장도 파업 전날 화물연대와 협의해 탱크로리 차량 60∼70대가량을 확보하고 물량을 일부 반출하고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현재까지 개별 주유소에서 물량 민원이 들어온 적은 없다"며 "다만 파업이 장기화할 것을 염두에 두고 협의를 지속해 운송 가능한 차량 대수를 늘려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화물차에 가로막힌 광양항 (광양=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24일 화물연대 파업으로 입구가 가로막혀 있는 광양항국제터미널 모습. 2022.11.24 cbebop@yna.co.kr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제 영구화와 품목 확대 등 요구 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상 파업을 무기한 지속할 방침이다.

화물연대 전남지역본부와 광주지역본부는 이날 오전과 오후 광양항과 기아 오토랜드 광주 앞에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삭발 투쟁에 나섰다.

화물연대 광주지역본부 관계자는 "정부 여당이 화주의 입장만 대변해 안전 운임제를 무력화하고 지난 6월 합의를 정면으로 뒤집고 있다"며 "파업 첫날부터 경찰의 화물차량 견인 조치 협박 등 공권력 과잉대응이 도를 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24일 파업에 돌입한 이후 광주·전남 주요 거점 지역에서도 파업 선전 집회가 열리고 있다.

전남에서는 여수 국가산단과 광양항 등 7개 시군 21 거점에서 850여명이 집결해 대기 중이다.

광주에서도 300∼500명 정도가 기아 오토랜드 광주, 금호타이어 등 사업장별로 흩어져 대시민 선전활동에 나서고 있다.

u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