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서해 피격' 서훈 전 실장 구속영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오늘(29일) 문재인 정부의 대북안보라인 최고 책임자였던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검찰이 전 정부 청와대 고위 인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처음입니다.
검찰은 서 전 실장 조사 과정에서 사안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등이 확인돼 구속 수사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오늘(29일) 문재인 정부의 대북안보라인 최고 책임자였던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검찰이 전 정부 청와대 고위 인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처음입니다.
검찰은 서 전 실장 조사 과정에서 사안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등이 확인돼 구속 수사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 전 실장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 이대준 씨가 북한군에 살해된 이튿날인 2020년 9월 23일 오전 1시쯤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이씨의 '자진 월북'을 속단하고 이와 배치되는 기밀 첩보를 삭제하도록 관계부처에 지시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받습니다.
국방부·국가정보원·해양경찰청 등 관계 기관이 이씨 사건을 '자진 월북'으로 몰기 위해 보고서나 보도자료에 허위 내용을 쓰도록 한 혐의(허위공문서작성 및 동 행사)도 있습니다.
검찰은 국가안보실 지시에 따라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이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MIMS·밈스)에서 감청 정보 등 기밀을 삭제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박지원 전 국정원장 역시 기관 내부 첩보 보고서 등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의혹을 받습니다.
검찰은 이달 24일과 25일 이틀 연속 서 전 실장을 불러 이같이 판단하거나 지시한 의혹, 이 과정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내용과 그가 지시한 내용 등을 추궁했습니다.
서 전 실장은 당시 상황을 모두 투명하게 밝혔으며, 근거 없이 이씨를 월북으로 몰거나 자료 삭제를 지시한 사실도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습니다.
아울러 관련 내용을 모두 보고받은 문 전 대통령으로부터 '정확한 사실 확인이 우선으로, 국민께 사실 그대로 알려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감사원 감사 결과에도 담겼습니다.
김관진 기자spirit@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상해 우는 손흥민 옆에서 '셀카'…가나 스태프 '눈살'
- 통한의 종료 휘슬과 진한 아쉬움이 남은 그라운드…오랫동안 경기장을 떠나지 못한 선수들
- '팔 맞고 튕긴 공' 찍혔는데…가나 첫 골 인정된 이유
- 류승룡, 가나전 심판 SNS에 분노의 댓글 남겼다 삭제 “생각이 짧았다”
- 같은 경기 중계 맞아?…'노 마스크' 관중석 가린 중국
- 코너킥 얻었는데 경기 종료…벤투, 항의하다 퇴장당했다
- 1분 만에 '택배 크로스'…이강인 등장에 분위기 반전
- 68년 이어진 '2차전 무승'…벤투호도 징크스 못 깼다
- '가방 속 아동시신 사건' 유력 용의자, 뉴질랜드로 송환
- 24년 만의 본선 승리 대이변…모로코 팬들, 타국서 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