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미시건주 SK실트론공장 방문…취임후 미국내 한국 공장 방문 처음

워싱턴/이민석 특파원 2022. 11. 29. 05: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 대미 투자 중 한 곳
백악관 “공장 연설에서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 창출 등 언급할 것”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 시각) 미시간주(州)에 위치한 SK실트론CSS 공장을 방문한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방한 당시 경기도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방문한 적이 있지만, 미국 내 한국 기업 공장을 방문하는 것은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사례를 부각시키면서 경제 정책의 성과를 강조하기 위한 차원이란 해석이 나온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 시각) 매사추세츠주 낸터킷 공항에서 워싱턴DC로 돌아가기 위해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고 있는 모습. /AFP 연합뉴스

백악관은 28일 공지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29일 미시간주 베이시티를 방문해 SK실트론CSS에서 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연설에서 보수가 좋은 제조업 일자리 창출과 아래에서 위로 및 중산층 경제 구축을 포함해 지난 2년간 우리가 이룬 진전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SK실트론CSS는 SK실트론의 미국 법인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탄화규소·SiC)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SK실트론이 2020년 미국 듀폰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해 설립했다. SK실트론에 따르면, 지난 2020년 회사를 인수했을 당시 현지 직원은 50명이 채 안되는 상황이었지만 인수 2년 만인 올해 3월 기준 160명 정도로 3배 이상 늘어났다.

SK실트론CSS가 오는 2025년까지 3억 달러(약 4100억원)를 투자해 공장 증설을 완료하고 본격 양산에 들어갈 경우 직원은 4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사는 지난 3월 여한구 당시 통상교섭본부장과 캐서린 타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10주년을 맞아 함께 행사를 개최한 곳이기도 하다. 당시 타이 대표의 SK실트론CSS 방문은 USTR측에서 제안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미시간주는 대표적인 ‘스윙 스테이트’(경합주)인 만큼 바이든 대통령이 경제 성과를 통해 지지율을 끌어 올리려 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7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화상으로 면담을 진행했었다. 당초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최 회장을 직접 만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화상 면담으로 전환됐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