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경기침체에 상가거래도 '꽁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파른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부동산 상가 시장 한파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거리두기 해제로 상권 활성화를 기대했지만 물가상승 영향과 금리 인상 등으로 소비심리와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부동산 상가 거래도 한파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직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매매가 대비 대출 비중을 낮춰 금리 인상 부담을 줄이고 면밀한 상권분석을 통해 투자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상가 거래, 1년새 39.4% 뚝
소규모 상가 공실률 확대 가팔라
"싸다고 덥석 물었다간 투자 실패"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가파른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부동산 상가 시장 한파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거리두기 해제로 상권 활성화를 기대했지만 물가상승 영향과 금리 인상 등으로 소비심리와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부동산 상가 거래도 한파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직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매매가 대비 대출 비중을 낮춰 금리 인상 부담을 줄이고 면밀한 상권분석을 통해 투자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임대가격지수도 중대형 상가는 2분기 대비 0.04%, 소규모 상가는 0.08%, 집합상가는 0.06% 각각 하락했다. 3개월간 부동산 보유에 따른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은 3분기 재산세 납부와 물가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 등으로 전분기보다 떨어졌다. 중대형 상가는 전분기 1.85%에서 1.32%로, 소규모 상가는 1.43%에서 1.20%로, 집합 상가는 1.54%에서 1.39%로 각각 하락했다.
거래 역시 쪼그라들었다.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올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상가(연면적 100㎡ 초과 3000㎡ 이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건수는 총 138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288건)에 비해 39.4% 줄었다. 서울 꼬마빌딩 거래량은 2019년 2036건, 2020년 2599건, 2021년 2940건으로 매년 늘었지만 금리가 대폭 뛰면서 거래가 끊기다시피 했다.
전문가들은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수록 상권 양극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한다고 당부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불황일수록 상권 양극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며 “당장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이라고 하더라도 상권 형성이 되지 않은 곳은 수익률이 떨어지고 공실 위험이 커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수정 (sjsj@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양양 헬기 사고'로 숨진 여성 2명, 신원 확인…경기 거주 50대
- 인력난에 백기 든 대통령실…尹 공약 철회 움직임 '스멀스멀'
- 백범 김구 증손녀, '태국 최대 재벌가' 子와 결혼…하객 1000여명
- 정진석, '가나 초콜릿' 쪼개놓고 "요렇게 찢어주마^^"
- [누구집]송중기, 재벌2세 못지않은 실제 저택은 얼마?
- 욱일기 응원 망신 vs 경기장 뒷정리, 日축구팬 양면성 도마위
- 중계 카메라 잡힌 日여성, '월드컵 미녀'됐다…누구길래?
- 양양 헬기 추락, 2명 탔다더니 시신은 5구…대체 무슨일이
- 내놨던 매물 다시 거둬들여…팔려던 집주인 '버티기 모드'
- 이재명 "부부가 같이살면 기초연금 삭감? 패륜예산 폐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