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에 놀란 中정부, PCR 검사 간소화… 대학 주변엔 경찰 집중 배치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2022. 11. 29. 03: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로 코로나’ 출구전략 고심
고령층 접종률 낮고 의료 취약해 방역정책 대폭 수정하긴 힘들듯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주민들이 코로나 봉쇄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외교부의 자오리젠 대변인은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시위 상황을 거론하며 제로 코로나 정책 종료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외신 기자 질문에 “당신이 거론한 상황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공산당이 이끌고, 중국 인민이 협력하고 지지하기에 중국은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성공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중국은 이 같은 공식 입장과는 달리 고강도 방역의 출구 전략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 “시 주석이 단속을 강화할지, 유화책을 쓸지 고민 중”이라며 “(우선) 민심이 폭발하지 않도록 방역을 느슨하게 해 사회의 불안 지수를 낮추려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관측대로 중국 정부는 최근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하자 사태 수습을 위해 방역 정책을 완화하는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27일 베이징 일부 아파트 단지에선 주민들의 요구로 출입 제한용 철제 울타리가 철거됐다. 광저우는 PCR(유전자 증폭) 검사 기준을 완화했다. 허난성 정저우는 봉쇄 상황에도 병원 치료 등 응급 상황에는 집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새 지침을 발표했다. 칭화대 측은 코로나 봉쇄 반대 교내 시위를 주동한 학생을 징계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이 주민들의 분노를 분산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중국 매체와 상급 기관들이 고강도 방역의 부작용은 일선 관리 조직의 무능 탓이라는 메시지를 보내 시 주석과 중앙 지도부로 비판이 쏟아지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는 고령층의 낮은 백신 접종률, 취약한 의료 시스템 등으로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당장 대폭 수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이 자체 개발해 자국인들에게 접종한 백신 ‘시노백’은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mRNA 백신보다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시 주석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인 만큼 공개적인 정책 포기 선언도 어렵다는 분석이다.

전국에서 시위가 지속될 경우 당국이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청년들이 ‘불법’ 집회가 1989년 톈안먼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는 것이다. 당시 “언론 통제 반대”를 주장한 학생 시위대는 시간이 지나면서 “공산당은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다. 28일 베이징 대학가 하이뎬황좡 주변의 상점들은 대부분 문을 닫았고, 경찰차가 대거 투입돼 학생 시위에 대비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