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8천원 할인한 거 맞아?”...피자업체 월드컵특수 ‘뒤통수’

최재원 기자(himiso4@mk.co.kr) 2022. 11. 28. 23: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대적인 할인 이벤트 불구
올해 피자값 두 차례 인상 탓
소비자들 “여전히 비싸” 인식
모바일 주문 환경 낯선 고령층
“디지털 가격 격차 심화” 우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카타르 월드컵과 연말을 맞아 최근 상당수 브랜드 프랜차이즈 피자 업체들이 최대 8000원까지 할인 행사를 진행하면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하지만 도미노피자 파파존스 등 주요 업체들이 올 들어 이미 두 차례나 피자 값을 올렸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가격은 여전히 비싸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할인쿠폰을 쓰려면 배달주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사용해야 하는데, 모바일 주문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의 경우 피자를 먹으려면 오른 가격을 고스란히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문제로 지적된다.

28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주요 브랜드 피자 업체들은 음식료 배달·포장 주문 플랫폼 업체인 ‘요기요’와 손잡고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대대적인 할인 이벤트를 진행했다. 요기요 앱을 이용해 도미노피자와 미스터피자에서 각각 2만1900원과 2만2900원 이상 피자를 주문하는 고객에게 최대 8000원을 할인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반올림피자샵은 최대 6000원, 파파존스는 5000원 할인 이벤트를 진행했다. 통상 브랜드 피자들의 할인 가격이 4000~5000원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할인 행사폭은 어느 때보다 컸다.

매일경제가 업체들에 확인한 결과 이번 할인 이벤트에 들어가는 비용은 가맹점주들은 부담하지 않고 프랜차이즈 본사와 배달앱이 나눠서 부담하는 구조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할인 행사 관련 가맹점주들 부담은 없었다”면서 “브랜드들이 제각기 요기요와 계약을 맺었는데 계약조건이 업체마다 달라서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큰 폭의 할인 이벤트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입장에서 브랜드 피자 가격이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는 점이다. 올 들어 피자 업체들이 원재료와 인건비 등을 이유로 한두 차례에 걸쳐 최대 3000원까지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도미노피자는 2월엔 1000원, 8월엔 1000원을 올렸다. 파파존스는 3월에 대형 사이즈 기준 2000원, 9월에는 하프앤하프 주문시 추가로 1000원을 올렸다. 미스터피자도 지난 2월 모든 메뉴 가격을 2000원 일괄 인상했다. 피자를 즐겨 먹는 40대 A씨는 “요즘 피자 가격이 너무 비싸졌다”면서 “할인을 더 많이 해준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결코 싸지 않아 소비자를 우롱한다는 생각까지 든다”고 말했다.

주요 브랜드피자 올해 가격인상 규모
특히 배달앱이나 모바일쿠폰 사용에 서투른 60대 이상 고령층의 경우 같은 피자를 5000원 이상 더 주고 사먹어야 하는 상황이어서 ‘디지털 가격 격차’가 문제로 지적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은퇴 이후 소득이 줄어든 고령층은 본래 취약한 소비계층인데, 여러가지 할인 혜택을 못누려 소비생활에 있어 이중의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온라인 이벤트에 소외된 계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프랜차이즈 피자업계는 코로나19를 전후해 보다 다양한 외식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트렌드 변화와 1만원 이하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가성비 냉동피자의 공세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냉동피자 시장점유율 1위인 오뚜기는 냉동피자 누적 판매량이 최근 1억개를 넘었고, 누적 매출액이 2700억원에 달한다. 반면 프랜차이즈 피자 시장 규모는 2017년 약 2조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0년 약 1조5000억원, 올해는 1조2000억원까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실적 악화에 직면한 브랜드피자들이 가격을 올렸으나, 이 때문에 소비가 더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졌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