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률 낮고, 체제 우월성 상징…포기 쉽지 않은 ‘제로 코로나’

김재중·이윤주 기자 2022. 11. 28. 21: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민 불만·경제 타격 크지만
인구 대비 의료시설 부족하고
확진 늘어나 봉쇄 해제 ‘난항’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된 이후부터 대부분의 국가들은 사회적 봉쇄를 단계적으로 완화했다. 강력한 봉쇄 정책이 길어질 경우 시민 불편과 경제적 타격이라는 비용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국 정부는 왜 이를 감수하면서까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것일까.

먼저 중국의 인구 대비 의료시설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특히 중국은 도시와 농촌 그리고 지역 간 편차가 매우 크다.

코로나19 취약계층인 고령층의 백신 접종률도 낮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중국 보건당국 통계를 인용해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 중 3분의 1이 3차 추가 접종을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자국이 개발한 백신만 접종시키고 있는데 노령층과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백신 부작용 등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중국산 백신의 면역 생성률은 화이자 백신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봉쇄 위주의 전략을 펼치다보니 어차피 외부 활동이 제약되는 상황에서 혹시 모를 부작용을 감수하고 백신을 맞을 이유가 적은 것이다. 이처럼 낮은 백신 접종률 때문에 중국 정부가 섣불리 봉쇄를 완화할 자신감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봄 홍콩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될 때 사망자 가운데 상당수가 백신을 맞지 않은 고령층이었다. 정치적 이유도 있다. 중국은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가들의 코로나19 방역 실패를 들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중국식 권위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선전해 왔기 때문에 이를 철회할 경우 정치적 대가를 치러야 한다. 중국은 이미 2020년 9월 코로나19가 종식됐다면서 승리를 선언했다. 봉쇄 정책을 완화하면 코로나19 발병 사례 증가는 불가피하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꺾이면서 28일 대부분의 경제지표가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6.5원 오른 달러당 1340.2원으로 거래를 마쳤고, 코스피지수도 1.21% 내린 2408.27에 장을 마감했다.

전 세계 금융시장은 중국이 11월 초 입국자 격리 기간 단축 등의 조치를 발표하자 제로 코로나 정책이 점진적으로 완화돼 중국 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겨울철을 앞두고 다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시민들의 항의 시위까지 번지면서 중국 내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중국이 예정대로 방역 완화조치를 시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다시 위험회피 심리가 커지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2.8%로, 내년은 4.0%로 하향조정했다. ING는 “중국의 봉쇄 해제가 쉽지 않으며, 봉쇄 해제 시 확진자 수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재중·이윤주 기자 herme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