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년 넘게 버려졌전 산속 무명 절터, 국가사적 됐다

노형석 2022. 11. 28. 1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름도 잊혀진 채 1천년 넘게 버려졌던 강원도 산속 절터가 나라가 지키는 사적이 됐다.

절터 곳곳에서는 '국통' 비문 조각을 비롯해 통일신라 때 제품으로 가장 온전한 모양새를 갖춘 청동제 정병 2점, '범웅관아'(梵雄官衙) 한자명이 새겨진 청동관인(관에서 쓴 도장), 돌판으로 된 대장경 경문 조각들, 인주가 남아있는 함, 금동번(깃대 깃발 장식), 향로손잡이장식 금동사자상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이 줄줄이 쏟아져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척 흥전리 사지’서 청동정병 등 유물 쏟아져
삼척 흥전리 절터에서 나온 통일신라시대의 청동제 정병. 절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맑은 물을 떠서 바치는 데 쓰였던 병으로, 이 땅에서 나온 고대 청동제 정병 가운데 가장 온전한 형태와 완성도를 지닌 명품으로 꼽힌다. 문화재청 제공

이름도 잊혀진 채 1천년 넘게 버려졌던 강원도 산속 절터가 나라가 지키는 사적이 됐다. 나라의 스승으로 공인된 스님을 뜻하는 ‘국통’(國統) 글자 새겨진 비석 조각과 중국·일본에도 별로 없는 청동제 정병 등 희귀한 통일신라~고려시대 유물들이 최근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문화재청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산중에 있는 옛 절터 ‘삼척 흥전리 사지’를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 절터는 2014~17년 불교문화재연구소가 9차례 발굴조사를 벌여 불전터, 탑터 등 사찰 시설을 다수 확인한 바 있다.

오지 산속에 펼쳐진 절터 발굴현장 전경. 문화재청 제공
삼척 흥전리 절터가 자리한 도계읍 산악지대의 모습. 문화재청 제공

절터 곳곳에서는 ‘국통’ 비문 조각을 비롯해 통일신라 때 제품으로 가장 온전한 모양새를 갖춘 청동제 정병 2점, ‘범웅관아’(梵雄官衙) 한자명이 새겨진 청동관인(관에서 쓴 도장), 돌판으로 된 대장경 경문 조각들, 인주가 남아있는 함, 금동번(깃대 깃발 장식), 향로손잡이장식 금동사자상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이 줄줄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정병과 번, 금동사자상 등은 세계 최고의 박물관으로 유명한 일본 왕실 보물창고 쇼소인(정창원)의 유물들과 거의 닮은 모양새를 띤 최고급 공예품들이어서 교류사적인 중요성이 더욱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절터의 드높은 위계를 일러주는 유물인 ‘國統’(국통)이란 한자가 새겨진 비석 조각. ‘국통’은 통일신라~고려시대 나라의 스승으로 공인된 큰 스님을 일컫는 말이다. 문화재청 제공
금동사자상. 병향로 손잡이 부분에 장식용으로 붙어있던 것이다. 문화재청 제공
절터에서 나온 인주 및 인주함.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쪽은 “옛 사서에 신라 조정이 지방세력 통제를 위해 각지에 절을 짓고 승려 관료들을 파견해 교단 업무와 지방 행정에 관여하게 했던 승관 제도가 언급돼 있다”며 “흥전리 사지는 이런 승관 제도가 실제로 시행됐음을 일러주는 유일한 물증이어서 역사적으로 주목되는 유적”이라고 설명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