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대규모 리콜] 車 제동장치 제어 전자장비 화재 위험…“충돌 없이도 불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화재 위험 가능성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수백만 대 규모의 전자제어유압장치(HECU·Hydraulic Electronic Control Unit) 리콜(무상 수리)을 진행하고 있다. 대상 차종과 규모가 워낙 커 해당 리콜이 ‘제2의 세타2 엔진 사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HECU는 잠김방지제동장치(ABS), 차체자세제어장치(ESC), 구동력제어장치(TCS) 등 자동차 제동 관련 장치를 통합 제어한다. 이 부위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자동차는 제동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 2020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HECU 리콜의 주요 결함 내용은 ‘HECU 모듈 내 합선으로 화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HECU 퓨즈를 교체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결함과 관련한 리콜은 국내에서 2020년 11월 기아 스팅어 1266대로 시작됐다. 이어 현대차 투싼 5만317대가 같은 이유로 리콜에 들어갔다. 단일 차종으로 가장 규모가 컸던 리콜은 2021년 5월 제네시스 G80 22만2084대다. 같은 날 그랜저도 19만1661대 리콜을 알렸다. 대상 차종 범위는 제네시스 G70·G80, 현대차 그랜저·싼타페·맥스크루즈·투싼, 기아 K9·K7·스포티지 등으로 꽤 넓은 편이고, 리콜 대수(국내)는 올해 10월 기준 130만 대 이상이다.
지난 2월 미국에서 해당 문제로 차 소유주들이 현대차와 기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현대차·기아는 HECU 오작동으로 전기회로가 끊기면서(전기회로 단락) 주행이나 주차 중에 엔진룸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며 제네시스 G80, 현대차 아제라(그랜저)·엘란트라(아반떼)·싼타페·투싼, 기아 카덴자(K7)·K900(K9)·세도나(카니발)·쏘렌토 등 총 48만5000대에 대한 리콜을 결정했는데, 미국에서 이 문제로 11건의 화재가 보고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 소비자에게 HECU 리콜에 대해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불이 날 수 있다고 공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리콜 대상 차 소유주에게 되도록 차를 야외에 주차하고, 다른 차와 떨어뜨려 놓을 것을 권고한다. 다만 국내의 경우 공동주택 비율이 70%를 넘어 자동차 화재가 큰 사고로 번질 수 있음에도 해당 리콜과 관련해 주차를 어떻게 하라는 별도 안내는 없는 상황이다. 아직 이 일과 관련한 국내 화재 보고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S그룹, ‘조직안정·성과주의’ 임원 인사
‘3세 경영’ 본격화
구본규 사장·구동휘 부사장 승진
LS그룹이 구자은 회장 취임 이후 첫 임원 인사를 조직 안정을 위해 최소한으로 하되, 성과주의 중심으로 단행했다. 특히 LS가(家) 3세인 구본규 LS전선 부사장과 구동휘 E1 대표이사 전무 등도 승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인사는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LS그룹은 11월 22일 이사회를 열고 내년 임원 승진 인사를 확정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를 고려해 외형과 조직 변화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대부분을 유임했다. 대신 성과주의에 입각해 사업주도형 CEO인 명노현 LS 사장과 도석구 LS MnM 사장 등 2명의 전문경영인 CEO를 부회장으로 승진시켰다. 구자엽 LS전선 회장의 장남인 구본규 LS전선 부사장과 안원형 LS 부사장도 각각 사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에서 부사장 승진자는 구동휘·김동현(LS일렉트릭), 한상훈(E1) 등 3명이다. E1 대표이사 전무였던 구동휘 신임 부사장은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의 아들이다. 전무 승진자는 안길영(LS일렉트릭), 김수근(E1), 정경수(GRM) 등 3명이다. 상무 승진자는 홍석창(LS), 장동욱(LS전선), 박우범·서장철·어영국·윤원호(LS일렉트릭), 유성환(LS MnM), 이상민(LS엠트론), 이정철(예스코홀딩스) 등 9명이다.
LS그룹은 앞으로 전기화 시대(electrification)를 과감히 이끌어 갈 전문가를 영입해 미래 성장 동력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美 테네시주 4조원 투자 양극재 공장 건설
LG화학, 2025년 양극재 양산
2027년 연간 34만t 생산 목표
LG화학이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 170만여㎡ 부지에 30억달러(약 4조1040억원) 이상을 단독 투자해 공장을 짓는다. 이를 통해 연간 12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한다. 미국 내 최대 규모로 연간 고성능 순수 전기차(주행 거리 500㎞) 120만여 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11월 22일 LG화학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서 테네시주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극재 공장 건설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했다. 테네시 양극재 공장은 내년 1분기에 착공해 2025년 말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양극재 생산 규모는 기존 2026년 총 26만t에서 2027년 총 34만t으로 상향 조정된다.
LG화학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을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글로벌 전지 소재 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IRA가 발효되면 LG화학은 미국 정부로부터 세제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테네시주는 미국 내 중동부에 위치해 고객사 납품과 원재료 수입을 위한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고 주 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설비와 토지에 대한 재산세 감면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다. 이미 이곳에는 제너럴모터스(GM)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배터리 공장도 있다.
LG화학은 글로벌 전기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의 양극재 수요에 대응해 생산 능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LG화학은 양극재를 포함한 전지 소재 사업 매출을 2022년 약 5조원에서 2027년 약 20조원으로 4배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은 LG화학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차세대 전지 소재 사업의 핵심 기지가 될 것”이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전지 소재 시장과 글로벌 고객사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