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반대 딛고 비상한 빌리, '차이콥스키의 도전' 닮아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김희경 2022. 11. 28. 1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대 뒤에서 한 발레리노가 심호흡을 하고 있다.

빌리는 아버지의 극심한 반대와 발레리노에 대한 선입견을 이겨내고 당당히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인다.

영화는 이를 무대 위로 날아오르는 장면으로 표현해 관객에게 짜릿한 전율과 큰 감동을 선사했다.

영화는 영국 로열발레단의 발레리노 필립 모슬리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티븐 달드리 감독 '빌리 엘리어트'
백조의 호수 실패한 차이콥스키
"발레곡 안한다" 했지만 맘 바꿔
호두까기 인형 등 걸작 탄생
매슈 본, 발레리노가 공주역 파격
현대 무용계 최고 인기작 꼽혀
실패·냉대 이기고 결국 성공한
빌리의 스토리와 어우러져 감동


무대 뒤에서 한 발레리노가 심호흡을 하고 있다. 결연한 표정이다. 마침내 무대로 뛰어나가 힘차게 도약한다. 마치 우아한 백조 한 마리가 수면을 박차고 멋지게 비상하는 것처럼.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빌리 엘리어트’(2001·사진)의 마지막 장면이다. 영국 북부 작은 탄광촌에서 살던 11세 소년 빌리가 멋진 발레리노로 성장해 공연하는 모습을 그렸다. 빌리는 아버지의 극심한 반대와 발레리노에 대한 선입견을 이겨내고 당당히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인다. 영화는 이를 무대 위로 날아오르는 장면으로 표현해 관객에게 짜릿한 전율과 큰 감동을 선사했다.

영화는 영국 로열발레단의 발레리노 필립 모슬리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소년 빌리는 배우 제이미 벨이, 마지막 장면에 나온 성인 빌리는 실제 로열발레단의 수석 발레리노였던 애덤 쿠퍼가 연기했다.

마지막 장면에 흐르는 음악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1840~1893)가 작곡한 ‘백조의 호수’의 메인 테마곡 ‘정경’이다. 이 작품은 악마의 저주로 인해 낮에는 백조로 살고, 밤에는 공주로 살아가는 오데트 공주와 그를 사랑하는 지그프리드 왕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차이콥스키와 빌리에겐 공통점이 있다. 빌리가 뛰어난 발레리노가 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것처럼 차이콥스키도 굴곡진 삶을 살았다. 차이콥스키가 처음으로 발레 음악에 도전한 ‘백조의 호수’의 초연도 크게 실패했다. 음악이 발레의 보조 수단에 그쳐야 하는데, 전면에 부각됐다는 게 혹평의 이유였다. 그는 충격을 받고 “다시는 발레 음악을 작곡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다행히 마음을 바꿨다. 포기하지 않고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미녀’ 등 발레 음악의 걸작을 잇달아 작곡했다. 그의 사후 ‘백조의 호수’도 재평가받게 됐다.

‘백조의 호수’는 이후 뛰어난 안무가들에 의해 다양한 버전으로 각색됐다. 이 중 영국 안무가 매슈 본이 1995년 초연한 버전이 유명하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빌리가 보여주는 무대도 매슈 본 버전이다. 그가 재창조한 ‘백조의 호수’는 현대 무용계의 최고 인기작으로 꼽힌다.

그 비결은 파격적인 시도에 있다. 이 작품엔 발레리나가 아니라 근육질의 남성 무용수들이 무대에 오른다. 내용도 원작과 다르다. 오데트는 왕자의 사랑만 기다리는 구원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연약한 성격으로 방황을 거듭하던 지그프리드 왕자가 뜨겁게 갈구하는 열망의 대상이 된다. 성인 빌리가 공연에서 맡은 역할도 오데트 역이다.

오데트 역을 발레리노가 맡은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작품엔 동성애적 코드가 담겼다. 차이콥스키 또한 동성애자였다. 그는 동성애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사회적 인식과 시선에 시달리며 괴로워했다.

계속된 실패와 차가운 사회적 시선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끝까지 창작혼을 불태운 차이콥스키와 어려운 환경과 주위의 반대에도 발레리노의 꿈을 키워나간 빌리. 음악과 영화 속에 담긴 이들의 이야기는 큰 감동으로 다가온다. 그렇게 명작은 오늘을 살아가고 버텨나갈 동력이 되어준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